농어촌공사, 농지은행 계약 전반에 디지털 기술 도입
유관기관 데이터 협업 간편한 농업 행정 서비스 제공
![[나주=뉴시스] 농지은행 서비스 디지털 플랫폼 강화. (사진=한국농어촌공사 제공) 2025.03.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3/14/202503141009593940_l.jpg)
[나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한국농어촌공사가 농지은행 서비스 디지털 5대 혁신을 통해 고객 편의를 강화하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농지은행 상담부터 서류제출, 계약, 대금 납부 등에 이르는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유관기관과의 데이터 협업을 강화했다고 14일 밝혔다.
상담 접근성 향상을 위해 '챗봇'을 도입한 결과 영업시간 내 방문이나 전화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상담할 수 있게 했다. 지난해 1만9000여명이 챗봇 상담을 이용했다.
'공공 마이데이터' 활용으로 서류제출도 간소화됐다.
'디지털 계약' 도입으로 계약 과정도 편리해졌다. 기존엔 고객이 방문해 여러번의 도장 날인과 서명을 해야 했지만 이젠 누구나 간편하게 디지털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청년층은 휴대전화나 컴퓨터를 이용해 직접 계약할 수 있으며 디지털 환경이 낯선 노년층도 디지털 창구에서 태블릿 서명 한 번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최근까지 3500건의 디지털 계약이 체결됐다.
농어촌공사는 고지서 발송 방식도 우편에서 벗어나 '모바일 고지' 서비스를 도입해 카카오톡과 네이버를 통해 분실 위험 없이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도록 개선했다.
고객들이 가장 불편하게 여겼던 농업경영체 변경도 유관기관 간 데이터 연계를 통해 농산물품질관리원에 전화 한 통만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됐다.
공사는 올해도 농지은행 시스템 이용 속도를 높이고 공공 마이데이터를 통한 서류제출 항목을 확대하는 등 디지털 농지은행 고도화에 속도를 높여 나갈 예정이다.
이영훈 농어촌공사 농지은행처장은 "공사는 지속적인 디지털 혁신을 통해 농지은행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쉽고 간편한 디지털 농지은행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cw@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