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신임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협회장으로 취임한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14일 중국 기업들의 추격에 대해 "굉장히 걱정스럽다"며 "중국이 많이 카피해 오고 있고 주요 특성은 많이 따라왔지만, 아직 플래그십이나 앞선 기술에 대해 격차는 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연구조합 이사회·정기총회 전 기자들과 만나 "이제 어떻게 기술 격차를 다시 벌려 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사장은 지난해 말 최주선 당시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이 삼성SDI 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사장으로 취임했고, 최 사장의 디스플레이협회장 잔여 임기 동안 재임한다. 3년 임기의 디스플레이협회장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가 번갈아 맡는다. 그는 협회장 취임 소감에 대해 "어려운 상황인데 맡게 됐다"며 열심히 하겠다"고 했다.
이 사장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해선 "굉장히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디스플레이는 부품이기 때문에 TV, 스마트폰 등 세트가 영향을 받으면 잘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응하는 게 맞는다"며 "산업계, 정부와 같이 머리를 맞댈 것"이라고 했다.
올해 디스플레이 업황 전망에 대해선 "모바일 기준으로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비중은 점점 커나갈 것"이라며 "모바일의 경우는 새츄레이션(Saturation·포화) 되어가는 분위기지만, 노트북이나 모니터, 자동차는 막 성장하는 단계라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협회 이사회·정기총회에 참석한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디스플레이 산업 내 산학연의 연대와 협력을 강화해 차별화된 미래 혁신기술을 선점하고, 인공지능(AI)·모빌리티·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융복합 신시장의 창출을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거시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확대와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운 시기에 있지만, OLED를 중심으로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차별화 경쟁력을 강화하면 반드시 좋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