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뉴스1) 전원 기자 =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14일 영암의 한 한우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긴급재난대책회의를 열고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
전남도에 따르면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은 한우 162마리를 키우고 있다. 농장주가 침흘림 등 임상증상을 확인해 방역기관에 13일 신고했고,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검사 결과 14일 오전 최종 양성으로 확인됐다.
도는 신속한 초동방역 조치와 함께 확산 차단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의사환축 발생 즉시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초동방역팀 2명을 투입해 해당 농장 출입통제와 소독 등 방역 조치를 하고, 도 현장 지원관을 파견해 주변 환경조사와 발생원인 등을 분석 중이다.
해당 농장의 모든 한우는 신속히 살처분하고, 발생농장 반경 3㎞ 이내를 방역지역으로 설정해 이동제한과 소독,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추가 의심 신고는 없는 상태다.
영암과 인접한 목포·나주·화순·장흥·강진·해남·무안 7개 시군의 구제역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심각'으로 상향했다.
우제류(소·돼지·염소·사슴 등) 농장, 관련 종사자와 차량 등에 대해 16일 오전 8시까지 48시간 동안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다.
공동방제단 99개단과 시군 보유 소독차량 등 가용한 소독자원(150대)을 총동원, 소독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김영록 지사는 "우제류 농가에서는 구제역이 수평 전파되지 않도록 축산농가와 차량, 인근 도로 등 위험 요소에 철저히 소독을 하라"고 지시했다.
전남은 2002년 11월 획득한 구제역 청정지역 지위를 유지해 왔지만 23년 만에 그 지위를 잃게 됐다. 2011년 5월에는 녹색축산의 제도적 뒷받침을 위해 '동물복지형 친환경 녹색축산 육성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