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는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운영 중인 '이주여성 건강관리 지원' 서비스가 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결혼이민여성들의 건강 관리와 생활 안정을 지원한다고 14일 밝혔다.
2015년부터 운영된 '다문화 가족 출산 전․후 맞춤형 돌봄서비스'는 올해부터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더욱 폭 넓은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주여성 건강관리 지원' 사업으로 확대됐다.
시가 한림대강남성심병원과 협력해 2015년부터 운영 중인 의료통역활동가 '벤토'(VENTO, Volunteer+Mentor)는 지금까지 1만 3000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도움을 줬다.
현재 운영 중인 의료통역 언어는 베트남어, 중국어, 몽골어 3개로 해당 언어로 활동하는 의료통역사는 각각 32명, 8명, 5명이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총 117명의 의료통역사를 양성했으며 양성 과정에서는 중국어, 베트남어, 몽골어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일본어도 포함됐다.
시는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종합건강검진 서비스의 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지원 대상자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중위소득 80% 이하인 결혼이민여성 중 연 60명만 지원했으나, 올해부터 기준을 중위소득 100% 이하로 확대하고 지원 인원도 연 100명으로 늘린다.
출산교실과 출산·육아 멘토링 프로그램도 강화된다. 출산교실은 기존 20가정에서 30가정으로 확대하고 외국인 가정(유학생, 노동자, 재외동포 포함)까지 지원 대상을 넓혔다. 출산교실 참여자의 언어지원을 위해 현재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통역이 가능하며 앞으로 필요에 따라 추가 언어를 투입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의료통역활동가 벤토를 알리기 위한 브랜드 웹툰 '흐엉씨의 고군분투 K-출산기(feat. 의료통역)'를 제작, 공개를 앞두고 있다. 3월 말부터 서울시 외국인포털(https://global.seoul.go.kr/), 서울시 다문화가족 정보포털(https://mcfamily.ok.kr), 한림대학교의료원 SNS(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에서 공개되며 향후 다양한 언어로 이를 제작해 보급한다.
이해선 서울시 글로벌도시정책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와 지속적인 지원 확대를 통해 외국인 주민과 다문화가족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