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좋은 정치 시스템과 정치에 좋은 인재가 가서 갈등을 조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Global Engagement & Empowerment Forum(GEEF)'에서 김용 전 월드뱅크 총재와의 대담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과거에는 민주주의가 덜 발달해 경제 발전이 모든 것을 우선한 가치였다"면서 "이럴 때는 굉장히 강력한 리더가 있어 한 그룹을 희생시키고, 나라 전체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해 성장도 빨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어느 정도 선진국이 되면 그런 것들이 굉장히 어렵다"면서 "각자 자기의 이해가 있어서 조율하기 어렵고, 이럴 때는 서로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큰 솔루션이라는 좀에서 고민이 되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그는 또 "이런 문제는 힘센 독재자가 나와서 할 수 없는 것으로 많은 규제들을 정치적으로 융합해 주고 풀어줄 수 있는 정책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국민들이 혜안을 가지고 우리가 정치인을 뽑는 그런 프로세스가 굉장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서도 국내 정치 상황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출산율이 낮아지고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 포퓰리즘의 유혹에 쉽게 빠질 위험이 있고, 경제성장이 정체되면 분배 여건이 악화되고, 세대간·계층간 갈등이 더욱 깊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으로 고통을 줄이기 위해 인기 영합적인 복지정책이나 현금 지원과 같은 재정정책을 추진하려는 유혹이 강해진다"면서 "이런 정책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오히려 재정만 낭비하면서 국가채무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재는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25만원 민생지원금에 반대 메시지를 내고,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한 빠른 시일 내 집행 촉구 등으로 정치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1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간담회에서 "정치적 메시지가 아닌 경제 메시지" 라며 선을 그은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