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해킹' 위믹스 "탈취 물량보다 더 많이 바이백하겠다"…재상폐 여부 촉각

뉴스1

입력 2025.03.14 11:42

수정 2025.03.14 11:42

(서울=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 위메이드(112040) 가상자산(암호화폐) 프로젝트 위믹스가 자체 서비스인 '플레이 브릿지'에서 해킹으로 위믹스 코인(WEMIX) 865만여개를 탈취당한 가운데, 탈취당한 물량보다 더 많은 위믹스 코인을 시장에서 사들이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번 사고로 떨어진 위믹스 가격을 다시 끌어올리고 '재상폐'만은 막으려는 취지다. 다만 재상폐를 막으려면 해킹 원인은 물론, 사고 사실을 뒤늦게 알린 이유까지 소명해야 하므로 바이백만으로는 역부족일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위믹스, 탈취 물량보다 더 많이 사들인다…1년 간 100억원어치 바이백

위믹스는 지난 13일 블로그를 통해 "플레이 브릿지 자산 탈취에 따른 시장 영향을 해소하고, 신뢰 회복을 통해 위믹스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100억원 규모 위믹스 코인 바이백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위믹스 측에 따르면 탈취된 위믹스 수량은 총 865만4860개로, 공격이 발생한 지난달 28일 오전 10시 코인마켓캡 기준 원화 가격(1011원)으로 환산 시 약 87억5000만원어치다.



위믹스는 여기에 12억5000만원을 추가해 총 100억원 규모로 바이백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바이백은 최대 1년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며 가격 변동성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바이백 일정은 미리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바이백은 위믹스 코인이 상장된 거래소에서 직접 코인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어느 거래소를 이용할 것인지는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또 바이백 진행이 완료된 후에는 얼마 만큼의 위믹스 코인을 사들였는지 수량을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해킹 원인·공지 늦은 이유 소명이 '관건'

위믹스의 이 같은 시도는 해킹으로 떨어진 위믹스 코인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도 있으나, 무엇보다 '재상폐'를 막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앞서 위믹스는 지난 2022년 12월 유통량 공시 오류로 소송전까지 지르며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됐다. 그럼에도 1년 만인 2023년 12월 업비트를 제외한 4개 거래소에 재상장되며 부활했다.

하지만 이번 해킹으로 위믹스는 또 한 번의 상폐 위기를 맞게 됐다. 해킹당한 가상자산을 상장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닥사 상장 가이드라인에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닥사는 당국과 함께 지난해 7월 '거래지원(상장) 모범사례(가이드라인)'을 마련했는데, 해당 가이드라인에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해킹 등 보안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장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를 달리 해석하면 해킹 사고가 발생한 가상자산 프로젝트는 상장 폐지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닥사는 지난해 2월 해킹으로 180억원어치 코인을 탈취당한 썸씽(SSX)의 상장 폐지를 결정했다. 또 지난해 3월에는 해킹으로 코인 15만9000만개가 추가 발행된 플레이댑(PLA)의 상폐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 때 중요한 점은 '해킹 원인을 제대로 소명하는 것'이다. 썸씽과 플레이댑의 경우 그 원인이 제대로 소명되지 않았다고 닥사는 판단했다.

위믹스는 사고 원인 조사를 블록체인 보안 기업인 티오리에 맡겼다. 티오리는 최근 분석을 마쳐 위믹스 측에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위믹스가 해당 조사 결과를 닥사에 보고하고, 충분히 소명하는 게 관건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원인을 소명하더라도 해킹 사실을 뒤늦게 공지한 것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격은 2월 28일에 당했는데, 위믹스가 이를 공지한 시점은 3월 4일 새벽이다.

실제로 거래소들이 이를 지적하기도 했다.
빗썸은 위믹스 유의종목 지정 사실을 공지하면서 "2월 28일 위믹스(WEMIX) 재단에서 운영한 플레이 브릿지 볼트 자산 탈취 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이나 가상자산의 가치에 중대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사항을 불성실하게 공시(3월 4일 새벽 공시)했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바이백도 규모는 크지만 1년 동안 진행하는 것이라 명확한 피해자 보상 방안인지에 대해선 애매한 구석이 있다"면서 "무엇보다 사고 사실을 뒤늦게 알린 것을 닥사가 어떻게 판단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