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LGBTQ+교사의 학교 경험' 설문
![[홍성=뉴시스] 전교조 로고.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3/14/202503141211464918_l.jpg)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성소수자 교사 중 73.6%가 학교에서 성소수자 차별·혐오 표현 접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원노동조합(전교조)은 지난달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LGBTQ+교사의 학교 경험' 설문조사를 통해 총 91명의 성소수자 당사자 교사들이 응답한 결과를 14일 공개했다.
전교조는 '학교 현장에서 성별 정체성, 성적 지향을 기반으로 한 차별을 받은 경험이 있냐'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에 1위(73.6%) '성소수자 차별·혐오 표현', 2위(45.1%) '가족수당, 경조사비, 건강보험 등 경제적인 차별', 3위(40.7%) '가족돌봄휴가, 질병휴가 사용 등 복무에서의 차별' 순으로 응답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서술한 차별 경험은 "동료교사, 관리자, 학생, 양육자로부터 성소수자 차별·혐오 표현을 경험했다", "배우자와 결혼식과 신혼여행에서 특별휴가를 받지 못 했다", "가족수당이나 복지포인트, 연말정산에서의 배우자 공제를 받지 못 했다" 등이 있었다.
아울러 "성소수자로서 커밍아웃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차별 받은 경험은 없으나 이성애·시스젠더·정상가족을 당연시 여기는 분위기에서 소외감과 고립감을 느꼈다"라는 응답도 다수 있었다.
학교 현장에서 성별 정체성, 성적 지향을 기반으로 한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없다"고 응답했다.
91명 중 15명의 응답자들만이 "커밍아웃을 했더니 동료교사로부터 지지를 받았다"고 하거나 교사 모임, 교사 단체 채팅방, QTQ(성소수자 교사 모임), 페미니스트 교사 모임, 전교조 여성위원회, 성평등특별위원회 등 모임이나 노동조합으로부터 지지를 경험했다고 했다. 법적·제도적 지원을 받았다는 응답은 없었다.
학교 현장이 성소수자 친화적·성인권이 보장되는 학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가장 필요한지 질문(복수응답 가능)에는 1위(60.4%) '경제상·복무상 가족다양성 권리 인정', 2위(59.3%) '국가 교육과정 상에서의 성소수자 포함', 3위(36.3%) '예비교사·교사 대상 성소수자 인식 교육' 순으로 응답했다. 교육부·교육청 차원의 정책 지원, 성중립 공간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그 뒤를 이었다.
전교조 성평등특별위원회는 2023년부터 '우리 학교에도 성소수자가 있습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며 학교 성소수자 구성원 가시화에 노력하고 각 학교에서 성소수자 인식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교조 관계자는 "성소수자 친화적, 성인권이 보장되는 학교 현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성소수자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이 중요할 것"이라며 "전교조 성평등특별위원회는 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성소수자의 권리를 반영한 단협안과 정책 마련에 이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