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14일 "교육부 장관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전국 17개 시도 교육감과의 영상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2024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교육부는 사교육 경감을 위해 그간 추진해 온 교육개혁 과제를 일관성 있게 추진해 현장에 안착시키고, 개혁의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시도 교육청과 사교육 경감을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 부총리는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와 고교학점제 등을 언급하며 "학생 맞춤교육을 실현하고 교실의 변화를 끌어낼 수 있도록 2025년부터 본격 도입되는 과제들을 적극 추진해 사교육 경감 효과를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또 "사교육 경감을 위한 신규 정책도 추진한다"며 "지방 소도시나 학교 밖 학습 여건이 열악한 지역의 중·고등학생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자기주도학습 지원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과 함께하는 사교육 대응체계를 확립하겠다"며 "사교육 경감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노력과 함께 시도 교육청 단위로 지역 실정에 맞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 부총리는 "시도 교육청과 함께 사교육 대책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겠다"며 "사교육 경감 우수 교육청에 대해서는 재정 지원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