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선업 인력난 해결책 '울산형 광역비자'…올해 생산직 2만명 부족

뉴스1

입력 2025.03.14 17:04

수정 2025.03.14 17:04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 ⓒ News1 DB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 ⓒ News1 DB


(울산=뉴스1) 조민주 기자 = 울산시가 조선업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나섰다. 시는 부족한 인력을 이른바 '울산형 광역비자제'를 통해 충원한다는 구상이다.

14일 울산시에 따르면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날 해외사절단을 이끌고 19일까지 4박 6일간의 일정으로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최근 조선업 경기회복에 따른 현장의 기술인력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이뤄진 것이다.

김 시장은 이날 우즈베키스탄 이민청에서 무사예프 베흐조드 청장과 만나 조선업 인력양성사업과 인력양성교육센터 운영 등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시는 법무부에 광역형 비자 사업을 건의해 제도개선을 이끌어 냈다.

이는 지역에서 필요한 외국 인력의 대상, 체류 자격, 활동 범위 등을 광역지자체 책임 아래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비자제도다.

기존 정부가 발급하던 비자를 지방정부가 주도해 발급하게 되는 것인데, 법무부는 이달 중 시범사업 심의·선정 후 시행할 예정이다.

시는 광역비자 시행에 앞서 한 발 더 빠르게 지난해 8월 HD현대중공업과 손잡고 우즈베키스탄 현지에 '울산 조선업 인력양성 교육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오는 18일 개소를 앞둔 센터는 교육생 370여 명을 대상으로 발판, 도장, 사상, 보온, 전기 등 5개 직종에 대한 맞춤형 기술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시는 현지 센터를 통해 우수 기술인력을 양성한 뒤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에 공급할 계획이다. 지자체가 해외에 인력양성센터를 마련해 인력을 공급하는 건 울산이 전국에서 처음이다.

이같은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해 고용노동부는 우즈베키스탄 현지 센터를 수료한 인력이 울산 지역의 조선업체에 고용될 수 있도록 하는 '울산형 고용허가제 시범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시는 올해 우즈베키스탄을 시작으로 태국 베트남 등으로 기술교육센터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조선업 경기 회복으로 현장 기술 인력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조선업계 인력난을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인력 확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조선업 수주 랠리로 올해 국내 조선업계에서 부족한 생산직 인력은 2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울산 지역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는 지난해 기준 8000여 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