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뉴스1) 박대준 기자 = 경기 파주시는 훼손 우려가 있는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의 보존 처리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파주 보광사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다. 조선시대에는 영조가 보광사를 어머니 숙빈최씨를 위한 능침사찰로 지정하면서 이후 왕실의 후원을 받게 됐는데, 1898년 귀인 엄 씨와 상궁들의 후원으로 이뤄진 대웅보전의 중수 때 이 불화도 조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불화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원 경선당 응석을 수화승으로 해 4명의 화원이 그렸다. 기존의 좌우 대칭을 강조하던 구도를 탈피한 사선 구도로, 보는 이를 명부계 현왕의 심판스토리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현장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는 100여 년의 시간 동안 안료가 산화되고 일부는 박락된 곳이 있으며 외기의 변화로 프레임이 틀어지면서 그림이 찢어져 천공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파주시에서는 문화유산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보존 처리를 결정하고 제안 경쟁을 통해 업체를 선정해 이달 안으로 보존 처리를 시작하게 됐다. 불화의 보존 처리는 8개월가량 소요될 예정이며 보존 처리 완료 후에는 다시 보광사 대웅보전으로 돌아가게 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