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ESG 경영 허울뿐?…연간 회의 고작 '3번'

뉴시스

입력 2025.03.18 06:01

수정 2025.03.18 06:01

대기업 53.7%만 ESG위원회 운영 회의 안건 64% '단순 보고'
(출처=뉴시스/NEWSIS)
(출처=뉴시스/NEWSIS)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2020년부터 본격화된 주요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4년 동안 지지부진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ESG위원회 설치율은 절반 수준이며,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고, 회의는 분기 평균 1회도 안 열렸다는 지적이다.

18일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361개사를 대상으로 ESG위원회 및 유사한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운영 여부를 조사한 결과, 53.7%인 194개 기업이 관련 위원회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준 조사에서 48.5%(175곳)였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동안 19개 기업 증가에 그쳤다.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194개 기업에서 지난해 열린 회의는 총 595회로, 위원회당 연평균 3.8회에 불과했다.

분기당 1회도 개최되지 않은 것이다.

회의에 상정된 안건은 총 1361건으로, 회의당 평균 2.3건이 처리됐다. 그러나 이중 64%에 해당하는 875건이 단순 보고였으며, 가결을 필요로 하는 안건은 35.7%(486건)에 불과했다.

안건을 세부적으로 보면, 환경(E) 관련이 39건(8.0%)으로 가장 많았고 지배구조(G) 개선 23건(4.7%), 사회(S) 관련 17건(3.0%) 순이었다.

업종별 ESG위원회 설치율을 보면 4대 금융지주를 포함한 지주사들과 이동통신 3사는 100% 운영 중이었다. 이어 500대 기업에 포함된 공기업 10곳 중 9곳이 ESG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조선·기계·설비업 70%, 증권업 70.0%, 상사업종과 생활용품 66.7%, 서비스업 65.2% 등의 순이었다.


반면 철강업(21.4%)과 제약업(25.0%)에서는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기업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철강업의 경우 14개 기업 중 3곳이, 제약업은 8개 기업 중 2곳만이 ESG위원회를 두고 있었다.


ESG위원회를 운영하는 194개 기업에서 활동하는 위원은 총 624명이었으며, 이중 78.4%(489명)가 사외이사, 21.8%(136명)가 사내이사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