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ㆍ충남=뉴스1) 양상인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서울시립대 김혁 교수 연구팀이 마찰과 찢어짐에도 10초 이내로 복구되는 초고속 자가 치유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전자피부는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기술로 사람의 피부를 모방해 촉각 감지·생체 신호 모니터링·부착 부위 치료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기존 전자피부는 반복적인 사용으로 발생하는 마찰·찢어짐·스크래치 등에 취약해 장기간 사용이 어렵고 손상 시 성능 저하가 불가피한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우선 유연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이황화물 화합물을 결합해 손상 시 열이나 빛 같은 외부 자극 없이도 자체 복원이 가능하도록 전자피부를 설계했다.
이와 함께 분자 이동성이 높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해 자가 치유 성능을 극대화했다.
실험 결과 전자피부는 상온에서 10초 이내에 80% 이상의 기능을 복구하는 성능을 보였다.
고온·고습·저온·수중 등 극한 환경에서도 근전도 및 심전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으며 손상 후 자가 치유를 거쳐도 신호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신속하게 복구되는 전자피부 기술 개발에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며 “이를 통해 차세대 웨어러블 의료 기술의 발전을 앞당기고 전자피부의 상용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