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천=뉴스1) 양희문 기자 = 경기 포천시에서 발생한 '공군 전투기 민가 오폭사고'와 관련해 주민들이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포천 지역 주민 1000여 명은 19일 오후 2시께 포천시청 앞에서 전투기 오폭사고 규탄대회를 열고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번 사고는 예견할 수 있었던 인재로, 지휘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생긴 사고"라며 "군 당국은 신속한 피해 복구 및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포천시 전체 면적의 24%에 달하는 곳이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고, 대규모 사격장에선 매일 같이 사격 훈련이 실시되고 있다"며 "그동안 주민들은 국가안보를 위해 참아왔지만 더 이상 정부와 관계 기관은 우리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고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군 전투기의 오폭사고로 쑥대밭이 된 노곡2리 마을이장 김영학 씨는 "노곡리 주민들은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날 궐기대회에는 백영현 포천시장과 김용태 국민의힘 국회의원 등도 함께했다.
백 시장은 수십 년간 각종 군사훈련으로 포천의 발전이 뒤쳐진 점을 비판하며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노선(GTX-G)과 군 사격장 유휴지를 활용한 국가산단 유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포천 시민은 75년간 여의도 전체 면적의 17배나 큰 9곳의 사격장을 머리에 이고 불발탄과 소음 등에 시달려왔다"며 "오로지 국가 안보만을 위해 희생했지만 이런 희생이 전투기 폭격으로 돌아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GTX-G 노선을 포천에 유치하고, 폐쇄된 군 사격장 유휴지에 국가산단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현재 군사훈련 피해 보상 관련 특별법을 준비하고 있다"며 "재난체계에 대해 명확하게 하고, 피해 주민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도록 법안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 오전 10시 4분께 포천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진행된 한미 연합·합동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 중 공군 KF-16에서 투하된 MK-82 일반 폭탄 8발이 민가에 떨어졌다.
이 사고로 군인과 민간인 40여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주택, 성당·창고·비닐하우스 등 재산피해도 발생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