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공급망 위기엔 글로벌 경쟁력 가진 3PL 집중 육성해야"

서지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24 18:02

수정 2025.03.24 18:02

"국제물류주선업 재등록 요건 도입해야"
국제물류주선업 5221개인데 통계 無
24일 국회에서 안태준·이병진 의원 주최로 열린 '해운·물류 분야 대응 전략 세미나'에서 한종길 성결대학교 글로벌물류학부 교수(오른쪽 네번째)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사진=서지윤 기자
24일 국회에서 안태준·이병진 의원 주최로 열린 '해운·물류 분야 대응 전략 세미나'에서 한종길 성결대학교 글로벌물류학부 교수(오른쪽 네번째)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사진=서지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3PL(3자 물류) 기업 육성을 위해 법령 정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가중되는 현 상황에선 이른바 '메가 포워더' 중심으로 산업을 재편하는 등 규모의 경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한종길 성결대학교 글로벌물류학부 교수는 24일 국회에서 안태준·이병진 의원 주최로 열린 '해운·물류 분야 대응 전략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의 물류 산업의 문제는 국제 경쟁력을 가진 3자 물류 업체가 아직 등장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라고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 교수는 "현 시점에선 규모와 범위의 경제가 실현 가능한 글로벌 제3자 물류 업체가 중요하다"며 "영세 물류 업체의 난립이 계속된다면 디지털화나 우수한 인재 확보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규모 포워더의 출현을 위해 한 교수는 국제물류주선업 재등록 요건 도입을 제안했다.

현재 등록제를 허가제로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최소한 2~3년에 한번씩 등록기업을 재평가하고 재등록 요건을 도입하자는 제안이다.

한 교수는 "정부 차원에서 기업들을 상대로 사업계획이나 사업실적보고서 제출을 의무화하는 것은 지금도 충분히 가능하다"며 "미등록·미제출 업체에 대해선 등록을 말소시켜 시장을 투명화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김용진 서강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도 "물류 산업을 대형화하고 선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그래야 교역 노선이 다변화되고, 선적에 대한 관리가 강화돼도 대응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 외에도 트럼프 2.0 시대에 △미국 달러 대비 환율 변동성 확대 △중국과의 디커플링에 따른 노선 다변화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 △러시아, 중동, 수에즈 운하 등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 교수는 물류 정책 수립을 위해 국제물류주선업에 대한 통계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통계청은 운수업 통계조사는 실시하고 있으나 '국제물류주선업'에 대한 별도 조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날 최정민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과장도 "2023년 기준 국제물류주선업은 5221개로, 굉장히 작은 업체가 많다"며 "그러나 국제물류산업협회에 상당수 업체가 소속되지 않아 업황 분석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인정했다.


다만 최 과장은 "중소업체들이 알아서 인수합병(M&A)를 하라고 강제하기는 어렵고, 제도로 할 것인지 아니면 3PL 업체들이 알아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인지는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