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전·충남, 분절로 생존·도약 어렵다…연계 극대화 시점"

뉴시스

입력 2025.03.25 17:29

수정 2025.03.25 17:29

이장우 대전시장, 국회 정책포럼서 구상·비전 제시
[대전=뉴시스] 이장우 대전시장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대전충남 통합 국회 정책포럼에서 통합 당위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2025.03.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이장우 대전시장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대전충남 통합 국회 정책포럼에서 통합 당위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2025.03.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은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포럼에서 "대전과 충남의 행정 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개편이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도전"이라며 통합 필요성을 주장했다.

'대전·충남 통합과 대한민국의 길'이라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이 시장은 그동안 추진해 온 대전충남특별시(가칭) 구상과 비전에 대해 설명하며 국가 차원의 공감대 형성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권선동 원내대표는 축사에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이 다른 지역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다"며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관철되도록 노력하겠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대한민국이 발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대전은 한 세기 전 행정의 중심지로 충남도청이 이전해 오면서 발전의 전기를 맞이했고 이후 철도와 고속도로, 대덕연구단지를 통해 대한민국 과학 수도로 성장해 왔다"며 "그러나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이라는 현실 앞에서 대전과 충남 모두 더 이상 분절된 체계로는 생존과 도약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또 "대전과 충남은 경제·과학·행정이 밀접하게 연결된 생활권으로 이미 사실상 하나의 도시처럼 움직이고 있다"며 "이를 제도적으로 통합하고 행정·재정·산업의 연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발표에서 예산권, 조직·인사권 등의 과감한 권한 이양과 행정통합을 통해 지방을 준연방정부 수준으로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대전과 충남이 통합될 경우 인구 357만명, 지역내총생산 197조원으로 국내 3위 규모의 메가시티가 조성된다. 이는 부산광역시보다 큰 규모로 유럽 49개국 기준 인구 32위, GRDP(지역내총생산) 23위에 해당하는 세계적 위상이다.

이 시장은 "이제는 단순히 경쟁하는 도시가 아니라 함께 도약하는 공동체가 돼야 한다. 대전의 과학기술 역량과 충남의 산업 인프라가 결합되면 대한민국 성장 동력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다"며 통합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성도 제시했다.

이어 "ABCD+QR(인공지능·바이오·탄소중립·국방+양자·로봇 등)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특별시가 국가 전략산업의 융복합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특별시 내 균형발전을 위해 트라이앵글식 3대축(대전권, 북부권, 서부권) 발전 전략도 제시했다.

이 시장은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단순한 행정 통합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 국가 전략이며 지역이 다시 중심이 되는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이라며 "이제는 실천의 시간이다. 시민과 함께 반드시 이 도전을 현실로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패널 토론에는 권혁주 한국행정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정재근 대전충남행정통합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 최진혁 대전지방시대위원장, 채원호 가톨릭대 교수, 박경현 국토연구원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장, 박연병 행안부 자치분권국장이 참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