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계와 예타 제도 폐지 및 후속 제도 추진 방향 공유
예타 폐지 위한 법안 과방위·기재위 회부…현장 의견 수렴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사.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3.07.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1/202504011401005219_l.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1일 한국화학연구원 디딤돌플라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대전환'을 주제로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대규모 국가R&D사업에 대한 사전 기획 및 검토 체계의 대대적인 개편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존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폐지와 후속 제도 추진 방향을 과학기술계와 공유하고 현장 수렴에 나섰다.
정부는 지난해 R&D 예타 폐지 및 후속제도의 시행을 위해 국가재정법 및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안을 마련한 바 있다.
현재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안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논의 중이며, 국가재정법 개정안은 기획재정위원회에 회부된 상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이같은 제도적 변화의 추진 경과를 연구현장에 공유하고, 향후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은 이번 설명회에서 R&D 예타 제도의 폐지 배경과 필요성, 그간 추진 경과, R&D 특성을 반영해 새롭게 도입될 사전 기획점검제, 맞춤형 심사제도 등 후속제도의 주요내용 및 기대효과 등에 대해 설명했다. 현장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도 이어졌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 R&D가 시대 변화에 부응하여 더욱 전략적이고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를 혁신해 나가겠다”며, “이번 설명회를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 현장과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