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지자체 후보지 선정 부담에
환경부, 사업비 2500억으로 줄여
규모·건립 계획 등 조정 불가피
환경부, 사업비 2500억으로 줄여
규모·건립 계획 등 조정 불가피

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환경부는 '국가 초순수 플랫폼센터 기본구상 보완'을 위한 용역을 공고했다.
초순수는 반도체 제조 각 공정과정의 세정에 사용된다. 반도체 품질과 수율을 좌우하는 핵심요소 중 하나로, 초순수 생산을 위해서는 물속에 포함된 불순물 농도를 극히 낮은 값으로 억제하는 수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반도체분야에서 초격차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순수 생산기술 국산화를 통해 국내외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초순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는 초순수 생산기술 개발과 관련산업 육성을 위해 플랫폼센터를 2030년까지 만들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6월 지자체에 후보지까지 공모했지만 돌연 중단됐다. 사업비와 규모가 변경됐다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당초 3500억원으로 계획됐던 사업비가 2500억원으로 줄어들고, 그에 따라 플랫폼센터의 사업규모도 달리지고 이에따른 사업보완이 필요해 다시 재공고를 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환경부는 앞서 진행했던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 사업이 국비 100%로 진행됐던 만큼 이를 참고해 계획을 세웠으나 다른 부처에서 하는 대부분의 클러스터가 지방비 매칭방식인데, 이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는 지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처음에 계획한 규모가 너무 크니까 지방비 매칭이 부담된다는 의견도 있었다"면서 "결국 재정여력이 있는 지자체만 지원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고, 향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 타당성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변경한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비가 축소되면서 당초 △소재·부품·장비 시험센터 △초순수 실증설비(플랜트) △분석센터 △폐수재이용 기술센터 △연구개발·기업지원·인재양성센터 등을 포함하는 5개 시설로 구성될 계획도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30년까지 만들겠다던 환경부의 계획도 다소 지체될 전망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께 다시 지자체를 대상으로 후보지 공모에 나선다는 계획"이라면서 "이후 후보지 선정 후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