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마스크도 차단 못하는 '오존' …서울시 '오존 관리 특별대책' 마련

뉴스1

입력 2025.04.02 11:16

수정 2025.04.02 11:16

서울 중구 시청역 인근 전광판에 오존주의보 발령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되고 있다. 2017.5.3/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서울 중구 시청역 인근 전광판에 오존주의보 발령을 알리는 문구가 표시되고 있다. 2017.5.3/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서울시가 고농도 오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여름철을 앞두고 5~8월 '고농도 오존 대응 계절관리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또 그간 미세먼지 저감에 집중돼 있던 대기질 개선 정책을 오존까지 확대한다.

서울시는 1일부터 '고농도 오존 관리 특별대책'에 들어갔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대책을 위해 시는 건강 위해성·모델링 등 분야별 오존 전문가, 관계 부서 회의 등을 거쳐 3대 추진 방향, 4대 중점과제를 도출했다.

시는 △오존 위해성 및 대응 방안 등 대시민 홍보 강화 △고농도 시기(5~8월) 계절관리 기간 운영 △상시 생활권 배출원 집중 관리 △과학적 해결 방안 마련 및 국내·외 협업 강화 등 4대 중점과제를 마련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간다.



먼저 오존경보 권역 조정으로 지금까지 단일 권역 발령됐던 오존 예보제와 5개 권역으로 운영됐던 오존 경보제 간 권역 불일치로 인한 비효율과 혼선을 줄인다.

또 미세먼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식이 부족한 '고농도 오존'의 위해성을 알리고 어린이·어르신 등 오존 민감군과 야외노동자 등 취약군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 수칙을 마련, 적극 전파에 나선다.

아울러 시는 매년 여름철(5~8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고농도 오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오존 계절관리 대책'도 시행한다. 고농도 기간 사전에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업장 등을 집중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주유소, 세탁시설 등 서울시 내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사업장 1056개소를 대상으로 방지시설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관계기관 합동점검도 추진한다.

오존주의보 발령 시 관급 공사장 현장책임자를 대상으로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해 외벽도장 및 아스팔트 공사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것을 권고하고, 친환경 도료 우선 사용 등을 안내한다.

또 오존주의보 발령 시 도로 물청소를 하루 최대 4회까지 확대하고, 고령층 및 취약계층 밀집 지역에 대한 집중 살수를 진행한다.


특히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서울 시내 오존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작용함에 따라 '생활권 비규제 대상 배출원'을 집중 관리,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원에 대한 저감 기반도 강화한다. 내연기관차 운행 제한의 단계적 확대와 전기차·수소차 보급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


권 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오존은 미세먼지와는 다른 가스상 오염물질로, 마스크 착용으로 차단이 쉽지 않은 만큼 농도가 높을 때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등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대응이 필요하다"며 "오존 발생 저감 등 시민 건강을 보호하고 앞으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