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토부 대광위 '향후 10년 광역교통 기술개발 로드맵' 설명회

뉴시스

입력 2025.04.02 14:00

수정 2025.04.02 14:00

'환승센터 통합 기술·철도신호체계 구축' 등 기술 제시
[서울=뉴시스] 그림은 디지털 트윈 환승센터 통합 운영 개념도. 2025.04.02. (사진=국토부 대광위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그림은 디지털 트윈 환승센터 통합 운영 개념도. 2025.04.02. (사진=국토부 대광위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정부가 향후 10년의 광역교통 기술개발 계획에 반영할 설명회를 개최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역교통 기술개발 로드맵(2025~2034)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설명회는 한국교통연구원, 대한교통학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광역교통 관련 7개 기관에서 교통분야 전문가 약 100명이 참석한다.

이번 로드맵 설명회에서는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광역교통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 위주로 구성한다.

정부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PM(개인형이동장치), 철도, 버스, 승용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 간의 환승을 최적화하기 위해 환승센터 통합 운영 기술을 추진한다.



이 기술은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환승플랫폼 개발로 교통약자 최적 동선 등을 제공하는 실내 내비게이션과 재난예측 시스템을 구현해 더 편하고 안전한 환승체계를 구축하고 환승 체감시간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외국산 철도신호시스템 의존에 따른 과다한 비용 등 기술종속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열차운영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차세대 철도신호체계 구축도 도입한다.


차세대 철도신호체계는 열차에 설치할 신호통신 시스템과, 무선으로 작동하는 선로전환 조정장치 및 열차운행 안정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기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철도노선을 연장하거나 새로운 역을 추가할 때, 신호체계 개편비용이 낮아져 운영부담도 줄어들 전망이다.


강희업 국토부 대광위원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로드맵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협의에 주력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ani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