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美 상호관세 발표…韓 반도체, 안도 속 우려 지속

뉴시스

입력 2025.04.03 05:40

수정 2025.04.03 08:22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03.21.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03.21.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미국 트럼프 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표되면서 한국 반도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단 반도체는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일 오후 4시(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국가별 상호관세 세부 내용을 직접 발표했다. 이번 관세는 당장 3일부터 적용된다.

상호관세는 특정국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상대국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정책으로 국가별로 관세가 다르게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아시아의 모든 나라들이 우리에게 한 일을 보면 공정하게 대우받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관세에 맞서기 위해 한국, 일본, 중국이 협력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반도체의 경우 이번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향후 품목별 관세에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최소 25% 이상 될 것이라고 밝힌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관세 부담은 커질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의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은 지난해 기준 7.5%로 중국(32.8%), 홍콩(18.4%), 대만(15.2%) 보다 더 낮다. 일각에서는 대미 수출 비중 자체가 낮은 데다 첨단 반도체는 한국 기업이 주도해 관세 피해가 적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관세를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미국 현지 생산 확대'가 꼽히지만 새 공장을 짓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실질적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미국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어서 현지 생산 확대에 나서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들은 지난 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회동했는데, 상호관세의 세부내용별로 민관 차원의 뚜렷한 대책을 내놓을 지 주목된다.
한 권한대행은 회동 자리에서 "각 산업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 조치를 긴급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어떤 형태로든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적지 않은 관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정부와 협력해 최대한 빨리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이 라인에서 EUV 공정을 적용한 첨단 모바일 D램이 생산된다. (사진 = 삼성전자 제공) 2022.7.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이 라인에서 EUV 공정을 적용한 첨단 모바일 D램이 생산된다. (사진 = 삼성전자 제공) 2022.7.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leejy5223@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