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오영주 "관세청 핫라인 구축…美 관세 정보 지방중기청서 확인"

뉴스1

입력 2025.04.03 11:00

수정 2025.04.03 11:00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열린 美 관세 대응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수출 중소기업이 정부에 바라는 점과 민관, 부처 간 협력 필요사항 등이 논의됐다. 2025.4.3/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3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열린 美 관세 대응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수출 중소기업이 정부에 바라는 점과 민관, 부처 간 협력 필요사항 등이 논의됐다. 2025.4.3/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김형준 기자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관세청과 핫라인을 구축하고 관세 정보를 지방중기청을 통해서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3일 오 장관은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열린 관세청과의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철강·알루미늄 제품, 자동차 분야에 이어 이날부터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발표되면서 수출 중소기업의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전국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지역 본부세관들과 핫라인을 연결해 미국 관세에 대한 정보를 수출 중소기업들에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3월 중기부와 중소기업중앙회가 철강·알루미늄 제품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41.8%의 기업들은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고 답했다.

또 관세 피해와 관련해 필요한 정부의 지원 사항으로는 51.3%가 '관세 관련 정보 제공'을 꼽으며 정보 부족을 호소한 바 있다.



오 장관은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원산지 증명 등 관세 관련 정보를 지방 중기청에서 신속히 제공하겠다"며 "수출 중소기업이 전문적인 상담을 원하면 공익관세사와 연계해 중소기업들의 시간·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구 관세청 차장도 "관세청은 중기부와 국내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업을 진행해 왔지만 최근 관세정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협력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들의 무역 환경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중기부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포함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중기부는 상호관세로 인해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290억 원 규모의 '수출 바로 프로그램'도 시행할 예정이다.

수출 바로 프로그램은 기존 수출바우처 사업의 일환으로 △대체시장 발굴 △공급망 확보 △관세분쟁 해결 등 보호무역 피해 지원에 특화한 프로그램이다.


중기부는 프로그램 신청 후 1개월 내에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는 패스트트랙 방식을 적용해 이르면 이달 말부터 실제 지원에 착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