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정밀 부품·시스템 제조기업 서진시스템은 최근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것과 관련해 "글로벌 매출 구조와 생산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실질적인 리스크는 크지 않다"고 3일 밝혔다.
서진시스템 관계자는 "이번 관세 조치는 대부분 중국산 제품을 겨냥한 것으로, 중국은 기존 20%에 더해 추가 34%의 관세가 적용돼 총 54%에 달한다"며 "반면 베트남은 이보다 낮은 46% 수준으로, 상대적 경쟁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이미 다양한 공급망 확보와 지역 분산화 전략을 통해 특정 지역 의존도를 낮춰왔다는 설명이다.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 분야에서는 베트남에서의 생산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미국 내 제조 설비를 갖춤으로써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회사 측은 또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고객사 요청이 증가하면서 수요 증가는 물론 사업 협력이 보다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서진시스템 관계자는 "다양한 공급망 확보, 글로벌 고객 대응 능력을 이미 갖춘 상태이며 관세 리스크에 따른 장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는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는 사업 운영과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