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현 국민대학교 석좌교수(전 산림청장) 기고
산림청 중심이 돼 모든 산 통합관리 체계 구축해야
자연 그대로 둔다?'…산불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울창함 자랑하기 전에 건강한 숲의 조건 따져야
숲 지키는 방식 바꿔 '탈(脫)재난의 숲' 만들어야
![[대전=뉴시스] 남성현 국민대 석좌교수(전 산림청장)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3/202504031401336307_l.jpg)
복구에는 수년이 걸릴 것이고 그동안 공동체는 회복되지 않을 상처를 안고 살아야 한다. 그렇기에 치열했던 산불진화가 끝난 지금 산불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인위적 요인이 결합된 '사회재난'이라는 시선이 강해지며 더욱 구조적인 대응과 새로운 정책으로의 전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세계 유례없는 치산녹화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아름답고 울창한 숲이라는 자연자원을 보유하게 됐다.
지나치게 밀식된 숲은 나무 간 수관이 서로 맞닿고 지표에는 낙엽과 가지가 쌓인 산림은 작은 불씨도 산불로 번질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오랫동안 우리는 산림을 보존해야 할 자연으로, 이용해야 할 자원으로 이분화해 바라봤다. 인식의 차이 속에서 환경단체, 산림종사자 등 분야별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도 있었다.
그나마 국립공원 등 보존가치가 높은 산림은 그대로 두고 임업에 필요한 산림은 가꾸자는 접근이 산림을 바라보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됐다.
하지만 이제 그런 구분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모든 산은 관리돼야 한다'는 새로운 산림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수시로 발생하는 산불을 막을 수 있도록 숲의 다양한 기능을 높이되, 내화수림대(耐火樹林帶) 조성 등으로 숲의 구조를 개편하고 솎아베기를 통해 연료물질을 조절하며 임도 확충으로 진화의 접근성을 높이는 숲 관리가 더욱 간절해 졌다.
그렇기에 미국의 처방적 소각(prescribed burning)과 숲 간벌로 연료를 사전에 제거하는 적극적인 산림관리가 우리의 산불 대응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와 같이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산이 연결돼 있고 주요 도심 내에 산림이 분포하고 있는 경우 위와 같은 인식전환을 위해선 산림의 통합적 관리가 전제돼야 한다. 산불은 한번 발생하면 소유 및 관리 주체와는 무관하게 비화하기에 현재 산림 소유별 관리방법 차이로는 큰 재난을 막기 어렵다.
특히 '자연 그대로 둔다'는 원칙으로 산림지역의 국립공원이 산불관리에 필요한 연료조절과 방화선 확보 등을 미루며 더 이상 산림관리의 사각 지대에 놓여있게 해선 안 된다.
필자가 경험했던, 국립공원 산불진화의 어려움이 계속돼서는 안된다. 그렇기에 이제는 산림관리의 주무부처인 산림청이 중심이 돼 모든 산을 통합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기후변화로 연중 산불 위협에 산림이 노출되면서 우리도 진화 대응역량 강화와 함께 예방 중심의 산림재난 관리가 병행돼야 한다. 산불을 막는 것은 곧 숲을 가꾸는 일이며 숲을 가꾸는 일은 국가가 책임져야 할 공공의 과제다.
방치된 자연이 재난의 불쏘시개가 되지 않도록 우리는 숲을 지키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 울창함을 자랑하기 전에 건강한 숲의 조건이 무엇인지 다시 묻고, 숲을 지키는 방식부터 근본적으로 바꾸는 '탈(脫)재난의 숲'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남성현 국민대 석좌교수(전 산림청장)
☞공감언론 뉴시스 kys050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