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중앙정부 격)은 3일 각 부처 수장들을 소집해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행정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 조작 등 비관세 장벽을 이유로 대만을 포함한 전세계 여러 지역에 상호관세 시행을 발표했다"며 "그 중 대만에 32%의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이후 미국에 엄중하게 항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후이즈 대만 행정원 대변인은 "이번 세율은 대만과 미국 간 경제 및 무역 실제 상황을 실제로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행정원은 미국의 이번 상호관세 산정 방식은 과학적 근거와 국제무역의 이론적 기초가 불분명하며 대만과 미국 간 무역 구조의 높은 상호 보완성과 실질적 무역 관계를 반영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리후이즈 대변인은 "최근 대만의 대미 수출 및 무역 흑자가 크게 증가한 것은 미국 고객들의 반도체 및 관련 제품, 특히 인공지능(AI)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데다 1기 트럼프 행정부 기간 중국에 대한 관세 및 기술 규제와 같은 안보 정책에 따른 것"이라며 "대만 기업의 공급망이 대만으로 이전된 것은 미국의 대만 IT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불법 우회 수출 요인도 세율에 반영했다"며 "미국은 이번에 중국과 무역이 밀접한 국가들, 특히 우회 수출로로 활용되는 국가들에 높은 세율을 부과했는데 대만은 이미 관련 조치를 통해 불법 우회 사안을 적극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중국 우회 수출기지로 활용되는 베트남(46%), 캄보디아(49%), 태국(37%)에는 높은 수준의 관세가 적용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