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주미 중국대사, 관세보다 대만 '나라'로 표기 더 불만

뉴시스

입력 2025.04.03 16:27

수정 2025.04.03 16:27

셰펑 대사, 엑스에 "대만은 중국의 대만"
[서울=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60여개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가운데 셰펑 주미 중국 대사는 높은 관세율보다는 대만을 ‘국가(Country)’ 범주에 포함시킨 것을 더 주목하면서 불만을 표시했다. 셰 대사 자료사진. 2025.04.03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60여개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가운데 셰펑 주미 중국 대사는 높은 관세율보다는 대만을 ‘국가(Country)’ 범주에 포함시킨 것을 더 주목하면서 불만을 표시했다. 셰 대사 자료사진. 2025.04.03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60여개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가운데 셰펑 주미 중국 대사는 높은 관세율보다는 대만을 ‘국가(Country)’ 범주에 포함시킨 것을 더 주목하면서 불만을 표시했다.

셰 대사는 2일(현지 시간) 자신의 엑스(옛트위터)에 "대만은 중국의 대만이고, 우리는 최대한의 진지함과 노력으로 평화적인 통일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지만, 우리는 어떤 형태의 ‘대만 독립’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셰 대사는 또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설 영상을 첨부했다. 이 영상에서 시 주석은 “대만 문제는 중국 국민들이 스스로 해결해야 할 사안이고, 중국 국민들이 결정해야 할 일”이라고 언급했다.

셰 대사의 이 글이 상호관세를 겨냥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중국 측은 대만을 국가 범주에 포함시킨 것을 더 주목했음을 보여준다고 대만 언론들은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해 왔고, 대만을 자국의 뗄 수 없는 일부분이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면서 대만을 국가로 지칭 또는 표기하는데 대해 강력히 반발해 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행정명령을 통해 각국에 부여할 상호관세 세율을 발표했다. 중국에는 34%, 대만에는 32%의 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중국과 대만 정부 모두 강력히 항의하면서 보복 대응 또는 소통 강화 의지를 표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