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전북지역 기업 상당수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으로 경영 환경 악화를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에 따르면 도내 제조업체 121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 관세정책에 따른 전북기업 영향 및 대응 방안' 설문 결과, 응답 기업의 55%가 '관세 정책의 직·간접적인 영향권에 있다'고 답했다.
이어 기업 43%는 '관세정책과 무관하다', 0.9%는 '반사이익이 예상된다'고 응답했다.
'관세가 정책의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 가운데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이 4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20.4%), 미국에 완제품 직접 수출(18.4%),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6.1%), 제3국(멕시코, 캐나다 등)에 부품·원자재 수출(6.1%), 기타(4.1%) 순으로 나타났다.
도내 기업들은 간접 영향에 따른 매출 감소(40.0%), 고율 관세에 따른 수익성 악화(20.0%), 미국 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5.7%),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5.7%), 고객사·유통망과 계약 조건 악화(8.6%) 순으로 향후 경영의 어려움을 우려했다.
아울러 기업 77.6%는 관세정책에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로 나타났다.
반면 생산 효율화나 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인 기업은 20.7%, 미국 현지생산 전환이나 시장 다각화 등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기업은 1.7%에 그쳤다.
김정태 전북상협 회장은 "미국 관세가 현실화해 도내 기업의 경영 환경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극복하려면 공급망 다변화, 원가 절감, 시장 다변화 등의 노력과 함께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k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