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철강산업 위기극복' 민관 협의체 발족

연합뉴스

입력 2025.04.03 17:19

수정 2025.04.03 17:19

미국발 관세·中 철강 덤핑 대응…전담TF도 운영
전남도, '철강산업 위기극복' 민관 협의체 발족
미국발 관세·中 철강 덤핑 대응…전담TF도 운영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발족 (출처=연합뉴스)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발족 (출처=연합뉴스)

(무안=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전남도는 3일 광양시 광양만권 소재부품 지식산업센터에서 민관합동으로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를 발족했다.

협의체는 전남도와 광양시·순천시, 전남도의회, 유관기관, 기업인 등 28명의 위원으로 이뤄졌다.

정책 자문, 기업 애로 및 규제 발굴, 정부 공동 건의, 세미나 및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현장 중심의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전남 철강산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23.1%(2022년 기준), 전국 철강 생산량의 34.4%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전남 수출의 17.9%(2024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수요 둔화, 탈탄소 전환 가속화, 중국산 저가 수입재 확대,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등 복합적인 위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중국산 철강재도 후판 기준 수입단가가 2021년 1t당 940달러에서 2024년 659달러로 30% 하락하면서 국내 철강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남도는 전략산업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별도 전담팀(TF)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위기대응 전략 및 규제개선'과 '인프라 조성 및 인력양성'의 두 개 분과로 구성되며, 전남도, 시군, 광양경제청,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테크노파크 등 관계 기관이 참여한다.

기업 애로 발굴과 규제개선, 국가산단 중심 인프라 확충, 기술인력 양성, 투자유치 협력 등을 하며,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지역 철강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실질적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전남도는 선제적 산업위기 대응을 위해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총 10억 원 규모의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광양만권 소재 중소·중견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공정 개선, 시제품 제작, 맞춤형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협의체 위원장을 맡은 박창환 전남도 경제부지사는 "철강산업은 수십 년간 지역 발전을 이끈 원동력이자 전남 경제의 근간을 이룬 중요한 산업"이라며 "전남도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minu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