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헌법에 가장 적합한 선고" 부산 시민들 반색[尹 파면]

뉴시스

입력 2025.04.04 13:58

수정 2025.04.04 13:58

"시국 안정화" 기대감 여야 조기 대선 국면 돌입
[서울=뉴시스] 박주성 기자 =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 역사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시쳥하고 있다. 2025.04.04.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주성 기자 =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 역사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시쳥하고 있다. 2025.04.04. park7691@newsis.com

[부산=뉴시스]김민지 원동화 권태완 이아름 기자 = 111일에 달하는 헌법재판소의 최장기간 심리 끝에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선고가 내려지자 부산 시민들은 헌재의 결정을 반기는 한편 탄핵 정국이 마무리됨에 따른 안도감을 드러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에서 휴대전화로 윤 대통령 파면 선고 생중계 방송을 지켜보던 한 시민은 결과가 나오자 "파면이다"고 외쳤고, 이내 사람들의 시선이 쏠렸다. 한 청년은 "정당하게 결과가 나와서 다행"이라며 헌재의 결정에 반색했다.

거리에서 만난 시민들도 헌재의 결정을 한 목소리로 반겼다.

부산진구 주민 김모(50대)씨는 "헌법 1조에 기재된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조항에 가장 적합한 선고"라며 "이제는 진보니 보수니 나누지 말고 힘을 합쳐 대한민국의 저력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직장인 전모(20대·여)씨는 "그간 탄핵이 인용될지 걱정이 많았는데, 오늘 파면이 돼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며 "오늘로 우리나라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회복한 것 같아서 기쁘다"고 웃음을 지었다.

시민들은 국정 운영의 정상화를 가장 소망했다.

자영업자 천모(50대·여)씨는 "대통령의 계엄령으로 온 국민이 양분화돼 정치적 갈등을 겪어야 했고, 경제적 손실도 극심했다"며 "하루빨리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길 바란다"고 이야기했다.

사상구 주민 박모(20대·여)씨는 "계엄이 선포되던 그날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절대 반복돼서는 안 될 역사고, 혼란스러웠던 시국이 빠르게 안정화되길 기대한다"고 바랐다.

회사원 정모(20대)씨는 "윤 대통령의 무리한 계엄으로 사회적 혼란이 컸는데 오늘 탄핵으로 조속히 수습됐으면 좋겠다"며 "조기 대선이 예정된 만큼 여야 대선 주자들이 지역 균형 발전에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후 부산에서는 선고 결과에 대한 찬·반 집회가 열릴 예정이다. 오후 7시 부산진구 서면에서 윤석열 정권퇴진 부산비상행동은 '윤석열 파면 축하 대회'를 진행한다. 앵그리블루와 국익포럼은 각각 부산진구 서면 일대에서 오후 1시부터 탄핵 인용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전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박주성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사건에 대해 인용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봉황기가 내려져 있다. 왼쪽은 24년 12월 대통령실에 걸려져 있는 봉황기의 모습. 2025.04.04.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 최동준, 박주성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사건에 대해 인용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봉황기가 내려져 있다. 왼쪽은 24년 12월 대통령실에 걸려져 있는 봉황기의 모습. 2025.04.04. park7691@newsis.com

◆헌정사상 두 번째 대통령 탄핵…조기 대선 돌입

앞서 이날 오전 11시 헌재는 국회가 청구한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의 선고기일을 열고 헌법재판관 8명의 전원일치 의견으로 인용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은 즉각 파면됐다.

윤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헌정사상 두 번째로 탄핵당한 대통령이 됐다.


헌법과 공직선거법 등에 따라 대통령이 궐위된 다음 날부터 60일 이내 차기 대통령을 선출해야 한다. 기존 오는 2027년 3월로 예정됐던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이르면 5월, 늦어도 6월3일께 치러질 전망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넉 달 만에 탄핵 정국이 마무리됐으며, 이로써 여야는 곧바로 조기 대선 국면에 돌입하게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mingya@newsis.com, dhwon@newsis.com, kwon97@newsis.com, ah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