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미래전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양자기술의 국방분야 적용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회 미래국방 전략포럼을 개최했다.
미래국방 전략포럼은 국방 안보에 민간의 우수한 기술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기술동향을 공유해 효율적인 국방R&D 투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회의다.
올해는 미래전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평가되는 양자기술을 주제로 서경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원장, 신상범 국방기술품질원 원장, 군 미래혁신연구센터장 등 민·관·군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류했다.
정일룡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양자정책센터장은 국내외 양자과학기술 정책 및 투자 동향을 분석하고 국방분야 양자기술의 수출입통제 및 공급망 위기 등 주요 이슈 및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이어 인용섭 국방과학연구소 팀장은 군의 감시정찰 및 통신보안 활용을 위한 국방과학연구소 양자기술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양자암호 네트워크, 다이아몬드 기반 양자센싱 등 양자기술 관련 최근 개발동향을 발표하고, 민간 양자 연구개발 역량의 기술 국방 적용 방안을 제안했다.
이후 김태규 가천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국방분야의 양자기술 접목 가속화를 위한 효율적 투자방향'이란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서경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0대 국방전략기술의 핵심 중 하나인 국방 양자 기술 발전을 위해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