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으로 21대 대통령 선거 일정이 사실상 시작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식 일정을 공표하진 않았지만 60일이라는 대선시계는 이미 작동하기 시작했다. 정치권은 빠르게 대선체제로 접어들고 있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치열한 경선 과정이 예상되지만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야권에서는 사실상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대선 후보가 될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특히 이 대표가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며 사법리스크까지 덜어낸 상황이다.
야권에서 경선 흥행 실패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이유다.
이에 비이재명계(비명계) 대권 잠룡들을 중심으로 조국혁신당이 앞서 띄운 야권 통합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 대표가 자신에게 불리한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의 경선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앞서 김선민 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지난달 4일 야권 통합 완전국민경선을 공식 제안했다. 범야권의 모든 정당 후보가 참여하는 '원샷 경선'을 치르자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거인단이 대선 후보와 대선 공약에 투표하는 방식으로 1차 컷오프와 2차 경선, 3차 결선 투표를 단계적으로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투표는 100% 온라인으로 치른다.
수감 중인 조국 혁신당 대표도 "중차대한 선거에서 승리하려면 모든 야권 정당의 역량이 100% 집결돼야 한다"며 완전국민참여 경선을 촉구했다.
아울러 비명계 야권 잠룡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도 앞서 동참의 뜻을 밝힌 만큼 조기 대선이 시작되면서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완전국민참여 경선 찬성자들은 경선 과정을 통해 '반극우연대'로 더 크고 넓게 국정을 운영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더 큰 민주당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민주당을 포함해 진보진영 정당에서는 완전국민경선에 대한 회의론이 우세한 만큼 현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소수 진보정당에서는 조기 대선 특성상 시간적 여유가 없을뿐더러 후보가 난립하면서 야권 통합 명분도 희석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각 당이 수용할 수 있는 통합 정책과 공약을 마련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야권 후보 선출에만 관심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민주당 내에서는 불가론이 우세하다.
당내 '선거 전문가'로 통했던 우상호 전 의원은 "완전국민경선 방식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후유증도 크다. 여러 부정 시비가 붙어 오히려 효과가 없다"며 "연합 정치를 하자는 취지는 고귀하지만 취지가 좋아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그는 "조국혁신당의 경우는 지금 조국 전 대표도 없는 것 아니냐"며 흥행 측면에서도 이같은 방식이 효과를 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친명(親이재명)계 민주당 의원도 "지금은 각 당이 후보를 내서 추후에 단일화하는 것이 현실적이고 나중에 정책 연대를 하는 방식이 낫다"라며 "당원과 지지자들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