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비명계 잠룡 '경선 룰' 띄우며 이재명 견제
김부겸 "압도적 정권교체 필수"…김두관 "형식적 경선 안 돼"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박용진(왼쪽부터)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부겸 전 국무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이 1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인근 천막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 농성에 돌입한 김 전 지사를 응원하며 손을 모아 결의를 다지고 있다. (공동취재) 2025.03.12. photo@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6/202504061708532770_l.jpg)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조기 대선 정국으로의 국면 전환이 본격화된 가운데 야권에선 100% 국민 투표로 범진보 진영 공동 후보를 선출하는 '범야권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주장이 다시 제기됐다.
조국혁신당과 비명(비이재명)계 잠룡들은 "압도적인 대선 승리를 위한 길"이라며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민주당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회의적인 반응이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6일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모든 야권 정당의 대선 후보가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을 치르자"고 재차 제안했다.
김 권한대행은 "탄핵당한 대통령을 두 번이나 배출한 정당에서 다시 대선 승리를 하자고 주장한다"며 "압도적인 승리의 정권교체를 해야만 완벽하게 내란을 종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내란에 반대하고 탄핵에 찬성한 모든 국민이 기존의 야권을 압도적으로 지지하지는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응원봉을 들고나온 다양한 계층과 세대를 결집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행은 "무엇보다 민주당의 결단을 촉구한다"며 "민주당 안의 후보가 될 것인지, 헌정 수호 세력 전체의 후보가 될 것인지를 헤아려 달라"고 당부했다.
비명계도 즉각 환영의 뜻을 밝히며 경선 룰(규칙)과 관련해 이 대표와 신경전을 예고했다. 이들은 이 대표가 당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만큼 범야권 국민 경선으로 치러져야 유의미한 경쟁을 벌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
김부겸 전 총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권교체는 필수"라며 "압도적인 지지가 없으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 합의를 이끌 수 없다"고 적었다.
김 전 총리는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완전국민경선'이 열쇠가 될 수 있다"며 "'탄핵의 강'을 함께 건넌 모든 세력이 힘을 합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 경선이 형식적인 절차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손에 땀을 쥐는 경선이 국민의 관심과 감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 민주당 울타리를 넘어 범야권 세력이 크고 튼튼하게 하나 되는 과정을 만들어 가자"고 했다.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김두관 전 의원도 "필수적인 정권교체를 위해 형식적 경선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완전국민경선에 힘을 실었다.
김 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완전국민경선제'를 통해 민주당의 좁은 틀이 아니라 반계엄, 찬탄핵 세력이 모두 모이는 경선이 향후의 대선에서도, 그 이후의 정국운영에도 좋다는 입장을 여러 번 피력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경선 방식은 아직 확정된 바 없다"면서도 조기 대선은 준비 기간이 짧은 만큼 경선 룰 변경은 쉽지 않다는 기류다. 각 정당이 대선 후보를 선출하고 이후 단일화를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대선 경선 방식은 아직 결정된 바 없지만 사무총장 개인 의견 전제로 각 당이 대통령 후보를 정하고 이후에 단일화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게 훨씬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개인 의견을 전제로 언급했지만 당내 경선 실무를 총괄하는 위치인 만큼 사실상 당의 입장으로 받아들여진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안(국민참여경선)과 전국대의원·권리당원·일반 국민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으로 투표하는 국민 경선제를 두고 실무 준비 작업을 해왔다.
과거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당해 치러진 조기 대선 때도 민주당은 1차 예비경선(컷오프)은 당원과 일반 국민이 50%씩 참여해 본경선 진출 후보를 걸러냈고, 본경선은 국민선거인단 투표 방식을 적용했다.
김 사무총장은 "'5 대 5'(국민참여경선)로 하기로 했다는 보도도 나오는데 아직 논의된 바가 전혀 없다"며 "2017년 제19대 대선과 2021년 제20대 대선도 국민 경선 방식으로 했다. 국민 경선 방식과 국민 참여 방식을 놓고 실무적으로 필요한 준비만 해왔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이번 주 중으로 경선을 위한 당규 등을 정비한 뒤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국면에 본격 진입하면 구체적인 선거인단 대상과 모집 방식 등을 두고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당 관계자는 "경선 룰 협상 과정에서 치열한 샅바싸움이 예상된다"며 "지도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지만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기류에 '경선 흥행'에 대한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