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탄핵 대통령'이 심은 경북도청 소나무… 퇴출 두고 논란

서윤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07 09:42

수정 2025.04.07 13:09

“보수의 심장… 도민 명예·자존심 훼손 안 되도록”
“대통령 행적은 긍·부정 공존… 역사의 일부 보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3년 10월 27일 오후 경북 안동 경상북도청에서 열린 제5회 중앙지방협력회의 참석에 앞서 청사 앞 뜰에 기념식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3년 10월 27일 오후 경북 안동 경상북도청에서 열린 제5회 중앙지방협력회의 참석에 앞서 청사 앞 뜰에 기념식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탄핵된 두 전직 대통령이 경북도청 정원에 심은 나무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경북도에 따르면 박근혜·윤석열 전 대통령은 도청 현관 앞 정원에 기념식수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심은 나무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6년 3월 10일 열린 경북도 신청사 개청식에서 도청 현관 앞 왼쪽 정원에, 윤 전 대통령은 2023년 10월 27일 경북도청에서 개최된 제5회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주재한 뒤 방문 기념으로 오른쪽 정원에 각각 소나무를 심었다. 수종은 모두 소나무류로, 수령은 20~30년 정도로 알려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24일 '화공 굿모닝 특강'(화요일에는 아침에 공부하자) 300회 기념행사에서 축사 후 기념식수를 했다.



시민단체 측은 "보수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경북도청 본관 건물 앞에 탄핵 대통령들이 기념식수를 한 나무가 버젓이 있다"며 "도민의 명예와 자존심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루빨리 퇴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북도민은 "두 대통령은 이미 사면 복권됐다.
기념식수를 제거하면 오히려 과거를 지우려는 행위로 보일 수 있고, 이는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감추는 일이 될 수 있다"며 반론을 제기했다.

안동지역 유림 관계자도 "모든 대통령의 행적은 긍정과 부정이 공존하기 마련이다.
기념식수는 그 자체로 '역사의 일부'로 간주돼야 한다"고 말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