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중남미

美재무 "관세로 경기침체? 동의 안해…시장이 트럼프 과소평가"

뉴스1

입력 2025.04.07 10:19

수정 2025.04.07 11:11

(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로 인해 경제에 불황이 찾아올 것이라는 우려 확산에 대해 "경기침체를 고려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미국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4일 발표된 고용지표에서 일자리가 양호하게 증가한 것을 상기시키며, "우리가 기대 이상으로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증시가 급락하는 데 대해서는 "시장은 살아 있는 생물과 같고, 어떤 반응을 보일지 알 수 없다"면서 "재무장관으로서 말씀드릴 수 있는 한 가지는 금요일(4일) 기록적인 거래량을 기록했고, 모든 것이 매우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답했다.

그는 "미국 국민들은 그래서 매우 큰 위안을 얻고 있다"면서 "시장 반응의 측면에서 보면 우리는 때때로 단기적인 반응을 보이며,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날 밤에 시장이 폭락했던 것을 기억한다"면서 "이후 그는 100년 이상, 어쩌면 미국 역사상 가장 친기업적인 대통령이 되리라는 것이 밝혀졌다"라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시장이 하루나 일주일 후에 어떻게 반응할지 누가 알 수 있겠느냐"면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번영을 위한 장기적인 경제 펀더멘털을 구축하는 것으로, 저는 지난 정부가 우리를 재정적 재앙으로 이끄는 길로 내몰았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이어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지미 카터 시대의 불황을 극복한 과정을 보면, 그 당시에 약간의 불안정성이 있었지만, 레이건은 그 과정을 견뎌냈고, 우리도 견뎌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이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한 데 대해서는 "관세는 일회성 가격 조정으로 지속적인 물가 상승과는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협상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에게 달린 문제이며, 트럼프 대통령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한의 영향력을 발휘해 50개국 이상의 국가가 비관세 무역장벽을 낮추고, 관세를 낮추고, 환율 조작을 중단하는 것 등을 미국 행정부에 전달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는 최대한의 협상 지렛대를 만들어 냈다"면서 "그들은 오랫동안 나쁜 행동을 해 왔고, 며칠 또는 몇 주 안에 협상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공화당 중진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고 나서는 등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데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 중국에 대한 20% 관세로 4년 동안 7%의 세금 또는 가격수준이 올랐다"면서 "관세 20%를 받아낼 수 있다면 꽤 괜찮은 수준이었던 것 같다"라고 집권 1기 때 예를 들어 방어했다.

베선트 장관은 또 "이틀 만에 유가가 거의 15%나 떨어졌다"면서 "이는 주식 시장보다 미국인들에게 훨씬 더 영향을 미친다"라고 했다.

또 "금리가 올해 최저치에 도달하기 때문에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신청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금리가 내려가고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리라는 기대를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선트 장관은 관세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중요한 축인 감세와 관련, '감세가 포함된 예산안이 8월 휴회 전에 미 의회에서 통과될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훨씬 더 이른 날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에게 기준 금리 인하를 요구한 것에 대한 견해에는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는 것을 보면 연준은 늘 그랬던 것처럼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장기금리, 즉 금요일(4일) 최저치를 기록한 10년물 금리로, 모기지 금리가 정해지는 곳이며, 장기 자본 형성이 책정되는 곳"이라고 말했다.


베선트는 "그리고 세금 문제로 돌아가서 우리가 (감세안을) 통과시킬 수 있을 때 경제적 확실성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