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올 서비스 평가 세분화
5G 측정물량 600개로 늘리고
KTX 등 미흡구간 개선 총력전
정부가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을 평가할 때 5G 전체 측정 물량을 400개에서 600개로 늘리고 주파수는 5G·LTE를 동시에 측정키로 했다. 매년 통신품질이 미흡하다고 지적을 받는 고속철도 구간도 정밀 점검에 나선다.
5G 측정물량 600개로 늘리고
KTX 등 미흡구간 개선 총력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계획을 공개했다.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5G, LTE, 유선인터넷 등 주요 서비스의 접속가능비율, 전송속도 등을 측정해 이용자에게 통신서비스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고 있다.
올해 평가는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평가를 강화하기 위해 평가 물량을 작년 400개에서 600개로 대폭 확대하고, 특히 평가 물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300개를 실내시설로 지정하는 등 집중적인 평가를 진행해 실내 체감품질 향상 및 음영 해소를 촉진할 예정이다.
KTX, SRT 등 연간 이용객이 1억명 이상인 대중교통임에도 품질미흡지역으로 지적되고 있는 고속철도 구간에 대해서는 품질미흡 미개선 구간에 대한 정밀점검을 실시하는 등 통신사의 신속한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또한 5G와 롱텀에볼루션(LTE) 품질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LTE망을 LTE 서비스뿐만 아니라 5G 서비스에서 함께 활용하고 있는 실제 이용환경을 반영해 평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용자들이 실제 불편함을 느끼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이용자 평가 결과의 품질 하위 지역을 망 품질평가 대상 지역으로 선정해 이용자 평가와 망 품질평가 간의 연계성을 높일 예정이다.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는 전년도 평가 결과에서 확인된 5G·LTE 접속 미흡 시설 및 품질 미흡 지역에 대한 개선 여부를 점검하여 8월 중 중간 발표할 예정이며 종합적인 품질평가 결과는 12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평가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소비자단체 등의 측정과정 참관도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이도규 통신정책관은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돕고 통신사의 품질 개선을 유도하는 중요한 제도"라며 "국민 실생활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5G 등 통신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