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 "압도적 정권교체 필요…'어대명 '경선 안 돼"
지도부 "일정 촉박" "당원 투표권 박탈 불가능" 난색
이 9일께 사퇴하면 경선룰 샅바싸움 본격화할 듯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07. kkssmm99@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8/202504080500567217_l.jpg)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둘러싼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민주당에선 지난 대선과 비슷한 국민참여 방식으로 후보를 선출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비명(비이재명)계는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요구하고 있어 협상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8일 민주당 당헌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자 선출은 '국민참여경선' 또는 '국민경선'을 원칙으로 한다
국민참여경선은 '권리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국민경선은 대의원·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비당원 국민에도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과거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당해 치러진 조기 대선 때도 민주당은 1차 예비경선(컷오프)은 당원과 일반 국민이 50%씩 참여해 본경선 진출 후보를 걸러냈고 본경선은 국민선거인단 투표 방식을 적용했다.
반면 비명계 잠룡들은 100% 국민 투표로 후보를 선출하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진보 진영 공동 후보를 선출하는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도 "압도적인 정권 교체를 위해 필요하다"며 화답하고 나섰다. 이 대표가 당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만큼 범야권 완전국민경선으로 치러져야 유의미한 경쟁을 벌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전날 민주당 내에서 첫 대선 출사표를 던진 김두관 전 의원은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며 "오픈프라이머리를 통해 압승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경선 방식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면서도 오픈프라이머리에는 미온적인 입장이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전날 SBS 라디오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주장은) 8년 전에도 나왔던 얘기로 당시 문재인 후보는 헌법의 원리에 맞지 않고,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얘기했다"며 "130만명이 넘는 권리당원이 있고 일반 당원만 해도 500만명 정도 되는데 그들의 후보 선출권을 박탈하는 결정을 어떻게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당내 경선 실무를 총괄하는 김윤덕 사무총장도 지난 6일 간담회에서 "각 당에서 대선 후보를 정한 이후에 사회대개혁 요구를 수렴하고 야권이 (후보를) 단일화해 정권교체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가는 게 훨씬 바람직하지 않겠냐"고 했다.
지도부 관계자도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원들의 투표권을 없애버리는 것이라 정당법에 맞지 않는다"며 "당원과 지지자들이 동의하겠나"라고 말했다.
아울러 조기 대선이라는 특수 상황으로 일정이 촉박해 완전국민경선제를 위한 선거인단 구성은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있다.
민주당은 이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한 후 특별당규준비위원회를 꾸려 경선룰을 최종 정리한다. 이 대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이날 국무회의에서 대선일을 공고하면 9일께 대선 출마를 위해 당대표직을 내려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후 당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국면에 본격 진입하면 구체적인 선거인단 대상과 모집 방식 등을 두고 후보들 사이의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키를 쥐고 있는 이 대표 측에서는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오픈프라이머리 참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입장을 숙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선 주자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1위를 달리고 있는 만큼 기득권을 내려놓는 모습을 연출하는 게 나쁘지만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다만 내부에서는 보수 지지층의 역선택에 대한 우려 등으로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다.
당내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당원 중심 정당'을 강조해온 것을 고려하면 당원 의사가 더 반영되는 국민참여방식을 주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지만 '어대명' 기류에 '경선 흥행'에 대한 고민이 깊다"며 "비명계 주자들이 경선룰에 문제를 제기하며 '경선 보이콧'을 고심하면 이 대표는 더욱 압박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