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경실련 "이전 공공기관, 지방은행과 거래 확대해야"

뉴스1

입력 2025.04.08 14:30

수정 2025.04.08 14:30

8일 오후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부산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방은행 거래 실태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5.4.8/뉴스1 ⓒ News1 장광일 기자
8일 오후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부산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방은행 거래 실태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5.4.8/뉴스1 ⓒ News1 장광일 기자


(부산=뉴스1) 장광일 기자 = 부산시민단체가 부산으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에게 지방은행과 거래를 확대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8일 오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전 공공기관 지방은행 거래 실태를 발표했다.

단체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부산 이전 공공기관 13곳이 전체 은행에 예치한 금액의 총액은 11조 4555억 원이었고, 지방은행 '부산은행'에 예치한 자금 총액은 1조 4227억 원(12%)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에는 전체 은행에 예치한 금액은 13조 8125억 원으로 전년 대비 늘어났으나 부산은행에 예치한 금액은 1조 2769억 원(9%)으로 줄어들었다.

또 부산 이전 공공기관 13곳 중 부산은행을 1순위 주거래 은행으로 삼고 있는 곳은 게임물관리위원회, 한국자산관리공사 2곳 뿐이다.

기관 13곳 중 아예 부산은행에 자금을 예치하지 않는 곳은 4곳 이상으로 드러났다.

단체는 "지방은행은 지역에서 예금과 대출 등을 운영하며 지역 자금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며 "이는 국가 균형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지방은행의 역할이 크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공공 일자리의 지방 이전 등 지역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비수도권의 성장 동력 확보와 수도권 집중 억제를 통한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이전 공공기관은 지방은행 거래 비중이 낮고 시중은행을 주로 이용하면서 지역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이전 공공기관과 지방은행의 협력을 통해 지역균형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과 관련 시행령을 개정해 지방은행 이용 의무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 지방은행 거래 실적 반영 △지방은행에 불리한 공공기관 주거래은행 선정 평가 기준 개선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