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주도,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활용 제품 보급한다

뉴시스

입력 2025.04.09 11:46

수정 2025.04.09 11:46

[제주=뉴시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장착한 독립형 가로등. (사진=제주도 제공) photo@newsis.com
[제주=뉴시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장착한 독립형 가로등. (사진=제주도 제공) photo@newsis.com
[제주=뉴시스] 임재영 기자 = 제주도는 환경부, 제주테크노파크와 함께 올해부터 3년간 300대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제품을 보급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연구와 시험 적용 단계를 마치고 본격적인 상용화를 시작하는 전국 최초의 사례다.

모델은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나눠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한다. 5년까지 사용을 보장하고, 최대 10년까지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동형 모델은 3㎾h급 고소작업 농기구와 5㎾h급 자율형 이송로봇이다.

이를 통해 농업 현장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스마트 농업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정형 모델로는 공동시설형 및 보급형 소형 에너지저장장치(ESS)와 2㎾h급 태양광 연계 독립형 가로등 ESS를 보급한다. 이 제품들은 농어촌과 마을공동시설 등 에너지 취약지역의 전력 공급 안정화와 피크타임 전력 수요 관리에 기여한다.

[제주=뉴시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장착한 농기구. (사진=제주도 제공) photo@newsis.com
[제주=뉴시스]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장착한 농기구. (사진=제주도 제공) photo@newsis.com
이 사업은 환경부가 참여하는 국가사업으로, 48억원을 투입해 2027년 12월까지 3년간 진행한다.
제주테크노파크가 대행기관으로 연간 100대의 사용후 배터리 활용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제주도와 제주테크노파크는 그동안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재사용 연구 등을 통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 활용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잔존가치를 활용한 자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제주형 배터리 순환경제 모델'을 확립해 전국적 확산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자원 선순환 기반의 산업 생태계 구축과 함께, 제주가 대한민국의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jy788@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