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가계부채 4월 이후가 분수령…금융위 "토허제發 풍선효과 점검"

뉴시스

입력 2025.04.09 12:02

수정 2025.04.09 12:02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사진은 23일 오전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2025.03.23.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사진은 23일 오전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2025.03.23.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금융당국은 올해 1분기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적이라고 평가했으나, 4월 이후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토허제) 영향에 따라 가계대출이 폭증할 수 있는 만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9일 '3월 가계대출 동향(잠정) 및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올해 3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월(4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감소한 수치다. 특히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폭은 2조2000억원으로 전월(3조4000억원)보다 1조2000억원 줄었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6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소폭 늘었지만,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은 3조4000억원에서 2조5000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제2금융권도 가계대출 증가폭이 마이너스 1000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2월 토허제에 따라 부동산 거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주담대가 크게 늘어난 점은 이번 3월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토허제 관련 영향은 4월 통계부터 점차 반영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가계대출이 폭증할 가능성은 농후하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도 강남3구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 대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토허제로 인한) 활발하게 이루어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된다"며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도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5월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대출 보증비율이 100%에서 90%로 강화되고,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는 만큼, 금융당국은 이에 대한 준비 상황도 점검했다.

당국은 금융권과 함께 초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전산개발, 시범운영 등에 착수하고 고객에 대한 안내·홍보도 강화하기로 했다.


권 처장은 "2분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금융권이 더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월별·분기별 경영목표에 맞춰 가계대출을 관리해야 한다"며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 확대, 모든 가계대출에 대한 소득자료 관리 강화, 부동산 연계대출 인프라 구축 등 올해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제시한 주요 과제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og8888@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