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그로기' 전남 석유화학, 생존 안간힘…대선에 발목(종합)

뉴시스

입력 2025.04.09 13:43

수정 2025.04.09 13:43

고용위기 대응 협의체 발족, 선제대응지역 신속 지정 추진 6월 조기 대선으로 상반기 중 산업 재편과 입법 지원 난망
(출처=뉴시스/NEWSIS)
(출처=뉴시스/NEWSIS)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시장수요 감소와 중국발 과잉 공급으로 그로기 상태에 빠진 전남 경제의 버팀목 석유화학 산업을 살리기 위해 행정과 기업 노동계 전문가 그룹이 산업과 고용, 투 트랙으로 안간힘을 쏟고 있다.

벼랑 끝 위기지만 탄핵 정국에 이은 조기 대선으로 정부 구원 등판이 더뎌지는 등 위기 탈출에 발목이 잡히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시각도 나온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 경제의 중심축 중 하나인 여수국가산단 석유화학의 경우 시장수요 감소에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최악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실제 대기업의 신규 투자와 유지보수 사업은 급격히 줄고, 일부 기업은 공장가동을 중단하면서 관련 중소기업의 매출이 줄어 고용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1만 명 수준이던 플랜트 건설 노동자수는 올해 2000여 명으로,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의 소비 감소와 지역상권 위축으로 까지 이어져 지역경제 침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도는 올 상반기를 위기 탈출 골든타임으로 보고 다각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우선 도의회와 고용노동청, 여수시와 산업계, 노동계, 지원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위기대응 협의체를 전날 구성한 뒤 위기 극복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달 중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하는 등 공동 대응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또 고용위기 지정 신청 후 현지실사 때 기관별 역할, 대응 요령, 고용보험 피보험자수와 플랜트 근로자수 등 객관적 자료 등도 논의했고 고용위기를 극복할 때까지 협의체를 운영키로 했다.

전남에서는 조선업 불황이 극에 달하던 지난 2018년, 영암과 목포가 고용위기 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김준철 도 일자리경제과장은 "고용위기지역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노·사·민·정이 힘을 모아 대정부 건의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고, 이광일 도의회 부의장과 주종섭 의원은 "중소플랜트 노동자들의 고용이 지속되도록 정부 지원 사업에 노동계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클러스터 구축도 급선무다. 도는 지난달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고, CCUS 클러스터 지정에 대한 정부 협조도 요청한 상태다.

김영록 지사는 "여수산단 적자가 가중되는 가운데 지난해 10월 산업용 전기요금이 10% 오르다 보니 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산업위기 선제대응 프로그램에 그런 부분도 포함됐으면 한다"고 산자부 장관에서 요청하기도 했다.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방안 보고서도 이달 중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산업과 고용, 투 트랙 전략을 펴고 있으나 석 달 이상 이어진 탄핵 정국에 이어 6월 초 대선으로 당장 시급한 산업 재편 논의나 관련 입법 절차가 제대로 속도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새 정부 출범과 내각 지명, 청문회, 인수인계까지 최소한 수 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상반기 중 급한 불을 끄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정치 일정상 어려움이 예상되긴 하지만 석유화학 산업 위기가 워낙 심각한 만큼 산업부와 고용부를 상대로 정부 협조를 지속적으로 요청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수=뉴시스] 여수국가산단 5대 기업 경영실적. (사진=여수상의 제공) 2025.01.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여수=뉴시스] 여수국가산단 5대 기업 경영실적. (사진=여수상의 제공) 2025.01.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