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ㆍ충남=뉴스1) 양상인 기자 = 대전교육청은 9일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학생 지원 방안을 담은 ‘2025년 교육복지 정책’를 발표하고 본격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 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정책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학생의 안정적 교육활동 지원을 목표로 마련됐으며 저소득층 교육 급여·교육비 지원,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 안전망 구축 등이 추진된다.
시 교육청은 기초생활수급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지원비를 차등 지급하며 자사고 재학 중인 수급자 학생에겐 학비 전액을 지원한다.
또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학생에겐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현장체험학습비, 통신비, 석식비 등을 제공한다.
시 교육청은 취약계층 학생 지원을 위해 61개 학교에 교육복지사를 배치하고 관내 모든 학교에 상담창구를 운영하는 등 교육복지안전망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보호자의 사망·실직 등 긴급 위기 상황에 처한 학생들을 돕기 위한 ‘꿈이룸 사제행복동행’ 사업과 공공·민간 자원을 연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나비 프로젝트’도 추진된다.
시 교육청은 2026년 시행 예정인 ‘학생맞춤통합지원법’에 대비해 교직원 협력 기반의 조기 개입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선도학교와 시범 교육지원청 운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정인기 기획국장은 "학생 개개인의 상황과 필요에 맞는 맞춤형 교육복지 체계를 구축해 복지 사각지대를 적극 해소하겠다"며 "모든 학생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세심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