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1조4000억원 증가하며 전월보다 증가 폭이 반토막났다. 다만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늘어난 주택 거래의 영향이 아직 가계대출에 본격 반영되지 않아 경계심이 큰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이달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토허제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면밀히 살피고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말보다 1조4000억원 많은 1145조원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이 전월보다 1조8000억원 축소됐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2조2000억원 증가한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9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째 감소세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지난해 말과 연초의 주택거래 둔화, 신학기 이사 수요 해소 등의 영향으로 주담대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의 경우 분기 말 상여금 유입과 부실 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박 차장은 "토허제 해제 이후 2∼3월 주택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2·분기에 집중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금융 여건 완화, 주택가격 상승 기대 재부각,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둔화, 토허제 재지정을 비롯한 정부 대책 효과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하고 있어 향후 가계대출 흐름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금융당국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1672조2000억원)은 전월보다 4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전월 증가 폭(4조2000억원)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금융당국은 토허제 여파가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며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경계심을 높였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히 이뤄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는 만큼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관계기관과 면밀히 살펴보는 동시에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선제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자율관리 강화도 당부했다. 권 처장은" 2·4분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금융권이 더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월별·분기별 경영목표에 맞춰 가계대출을 관리해야 한다"며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 확대, 모든 가계대출에 대한 소득자료 관리 강화, 부동산 연계 대출 인프라 구축 등 올해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제시한 주요 과제도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달 은행의 기업 대출은 2조1000억원(잔액 1324조3000억원) 감소했다. 3월 기준으로 기업대출이 전월보다 줄어든 것은 2005년 3월(-1조2000억원)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7000억원, 1조4000억원 감소했다.
박 차장은 "3월 은행 기업대출 감소는 지난해 말 대내외 불확실성 탓에 기업의 자금 수요가 줄어든 데다 공급 측면에서도 은행들이 신용위험 관리 측면에서 중소기업 영업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