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한국적 AI 모델 활용
"'지스타' 참여하는 등 게임사와 접점 늘릴 것"
KT "게임사에 인프라부터 캐릭터 생성까지 토털 AI 서비스 제공"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한국적 AI 모델 활용
"'지스타' 참여하는 등 게임사와 접점 늘릴 것"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국내 기업 대상 인공지능 전환(AX) 설루션 사업을 추진 중인 KT[030200]가 게임 산업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장용우 KT AX사업본부 엔터프라이즈 부문 AX사업3담당(상무)은 8일 KT 송파 사옥에서 기자들과 만나 "게임 산업은 AI를 가장 잘 이해하는 산업"이라며 "KT는 단순 인프라나 그래픽 처리장치(GPU)뿐 아니라 한국적 AI 모델, MS 소형 언어모델(sLM)을 활용한 'K-Phi(파이)' 등을 통해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게임 산업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캐릭터, 스토리, 대화형 NPC(플레이어가 조종하지 않는 캐릭터)를 제작하는 등 여느 산업보다 AI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국내 게임사의 경우,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게임 이용자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한정된 자본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면 AI 활용이 필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KT는 게임사가 효율적으로 AI 기술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AI, 클라우드 기반 AX 설루션을 준비 중이다.
대표적인 서비스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PC)를 토대로 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다.
개발 단계부터 글로벌 서비스 운영까지, 게임사에 요구되는 다양한 IT 인프라를 충족하도록 준비 중이다. 초기 구축 비용 없이 월 단위 과금 방식으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관리형 프라이빗 클라우드(MPC)도 마련했다.
KT는 이 같은 서비스로 게임사들이 AI 학습이나 개발 환경처럼 장기간 사용하는 리소스는 온프레미스 환경에, 게임 출시나 프로모션 등 일시적으로 많이 투입되는 자원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배치하는 하이브리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인프라 구축과 운영 비용을 효율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AI 모델 학습에 필수적인 GPU를 구독 형태로 제공하는 GPUaaS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 같은 서비스는 특히 소형 게임사들에 유용할 수 있다고 장 상무는 전망했다.
그는 "소형 게임사는 인력이나 인프라에 투자할 여력이 없다"며 "스타트업으로 작게 시작할 때는 MPC나 GPUaaS를 잠깐씩 이용하면서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정서를 잘 이해하고 한국 역사와 철학, 사회를 학습한 한국적 AI 모델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장 상무는 "챗GPT나 제미나이에서 한국어는 여러 언어 중 하나라 한국 문화나 역사를 이해하기 부족한 점이 있는데 한국적 AI는 게임에 활용하거나 고객센터에 적용할 때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적 AI 모델은 게임사가 AI 캐릭터 'CPC'를 만드는 경우에도 유저에게 한국 문화나 정서에 맞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게 함으로써 게임 몰입도를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장 상무는 CPC의 저작권 문제에도 대비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KT는 데이터뿐 아니라 AI 결과물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이 있고 책임감 있는 AI를 위한 센터도 있다"며 "여기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학습시키는 데이터부터 최종 결과물까지 책임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CSP와 달리 통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점도 KT AX 설루션의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게임 서비스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이 중요한데, KT의 네트워크 디자인과 MS 애저 글로벌 리전(서버 위치)의 통합 컨설팅으로 안정적인 게임 출시와 국내외 배포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장 상무는 "KT는 CT(통신기술)부터 코로케이션, 클라우드, AI까지 갖춘 것이 많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디도스 공격을 방지하는 등 AI 기반 공격 대응 설루션을 갖춰 안전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KT는 가을께 게임 산업을 대상으로 AX 서비스를 소개하는 2차 세미나를 열고, 오는 11월 지스타에 부스를 차리는 등 게임사와 접점을 계속 늘려갈 계획이다.
hyun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