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펀드 가격 산정 오류, 투자자 신뢰 흔드는 일"

[서울=뉴시스]우연수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본연의 책무를 등한시 하고 노이즈 마케팅에만 집중하는 운용사에 대해서는 상품 운용 및 관리 체계 전반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9일 오전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23개 자산운용사의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운용사들의 상장지수펀드(ETF) 과열 경쟁 양상에 대해 "최근 일부 대형사를 중심으로 외형 확대를 위한 보수 인하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가운데 운용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펀드 가격(NAV) 산정에서 오류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는 투자자의 신뢰를 근본부터 흔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자본시장법상 자산운용사의 투자자에 대한 '충실 의무'를 거론하며 실질적인 의결권 행사를 통해 투자자를 최우선하는 신인 의무를 지켜달라고도 당부했다.
이 원장은 "형식적인 의결권 행사, 대주주·임직원 사익추구, 계열사 등 이해관계인에 치우친 의사결정 등 투자자 최우선 원칙을 훼손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금감원은 의결권 행사 모범 및 미흡 사례를 적시(네임 앤 셰임)하는 등 시장이 성실한 수탁자를 가려낼 수 있도록 정보를 명확히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CEO들께서도 조직 내 의사결정과 보상·평가체계 전반에 신인 의무가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또 전문성과 창의성 제고를 통한 운용 산업 고도화에 집중해달라고도 제언했다.
이 원장은 "일본은 자산운용입국을 국가 전략으로 채택했고 영국, 싱가포르 등 금융중심지도 운용산업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상품 다양성 확대 등을 통해 노력하고 있으나 '한국시장만의 매력'을 보여주기엔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K-운용'만의 차별화된 전략이 절실하다"며 "금감원도 펀드 운용규제 개선과 운용사 업무 영역 확대 등을 통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자산운용사가 출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날 자산운용사 CEO들은 자본시장 선진화 및 자산운용산업 발전 추진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지속적으로 소통·협조하기로 했다.
특히 주주권익 보호를 위해 상법상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 도입이 필요하며 그간 일반투자자 권익 침해가 다양한 형태로 발생했다는 점을 감안해 '원칙' 중심의 대응 방안 마련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또 운용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펀드 가입 절차 간소화, 외화표시 ETF 상장 허용, 장기 적립식·채권형 상품에 대한 세제상 혜택 부여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과도한 ETF 마케팅 자제 등 자정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coincidenc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