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통일

통일부, 탄핵 이후에도 北비핵화 정책 '고수'...전세계에 공표

김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0 16:04

수정 2025.04.10 16:04

[파이낸셜뉴스]우리 정부가 대통령 탄핵 이후에도 북한의 완전 비핵화라는 대북 정책기조가 바뀌지 않았다고 대외적으로 선언했다. 탄핵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추구했던 한반도 비핵화 정책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힌 것이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10일 일본 도쿄에서 가진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북핵 문제를 해결해 나감에 있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그대로 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미·일 등 국제사회가 긴밀히 공조하며, 굳건한 한미 동맹을 통해 북핵 확장 억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 장관은 "북한의 도발과 위협을 멈출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안은 북핵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 국제사회의 일관된 목표와 단합된 행동"이라면서 "지난 2월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를 다시금 확인한 것은 이러한 길을 열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따.

통일·대북정책에 있어서도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김 장관은 밝혔다.

또한, 한반도 통일 문제는 단순히 경제적 손익계산을 따지는 공리주의적으로만 접근할 문제가 아니라고 김 장관은 언급했다.

그는 "북한의 비핵화와 북한 주민 인권 증진, 납치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 그리고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에 도움이 되는 일본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언제든 환영한다"고 전했다.

김 장관은 2박 3일 일정으로 일본 도쿄를 방문해 정부·의회 고위 인사들과 통일·대북정책 공조방안 모색에 나섰다.

김 장관은 지난 9일 나가시마 아키히사 일한의원연맹 간사장 등을 만났다. 10일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 등을 면담했다.

'고위급 국제통일대화'로 명명된 이번 방일은 일본 이시바 시게루 내각 출범 이후 통일·대북정책의 한일 간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납북자·억류자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 간 공동노력을 촉진하고자 추진됐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10일 일본 도쿄에서 외신기자클럽과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있다. 유튜브 갈무리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10일 일본 도쿄에서 외신기자클럽과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있다. 유튜브 갈무리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