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6.4%·SK하이닉스 11% 급등…상호관세 발표 이후 낙폭 일부 만회
낙폭과대 인식 확산, 외국인 매도세 진정…반도체 품목관세 불확실성은 여전
[살까팔까] 상호관세 유예에 반도체株 '훨훨'…삼전·하이닉스 바닥 쳤나삼성전자 6.4%·SK하이닉스 11% 급등…상호관세 발표 이후 낙폭 일부 만회
낙폭과대 인식 확산, 외국인 매도세 진정…반도체 품목관세 불확실성은 여전

(서울=연합뉴스) 곽윤아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히며 관세전쟁 우려가 누그러지자 10일 반도체주가 급등했다.
반도체 업황 개선 흐름 등을 고려하면 최근의 주가 낙폭이 과도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관세 리스크를 둘러싼 우려가 진정되면서 주가에 상승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삼성전자[005930]는 전장 대비 6.42% 오른 5만6천400원에 장을 마쳤다. 이날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15일(7.21%) 이후 최대다.
주가는 장 내내 강세를 보였고, 정규장 개장 직후 6.98% 오른 5만6천700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SK하이닉스[000660]는 11.03% 급등한 18만3천200원에 장을 마치며 2020년 3월 24일(13.4%) 이후 가장 큰 일일 상승률을 보였다.
프리마켓 개장 직후 잠시 상한가에 거래가 체결되는 진풍경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날 급등으로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표된 지난 3일부터 전날까지의 하락폭(삼성전자 -9.86%, SK하이닉스 -16.62%)을 상당 부분 만회했다.
이외에도 디아이[003160](9.59%), 한미반도체[042700](10.59%), 테크윙[089030](9.51%), 피에스케이홀딩스[031980](4.71%), 이오테크닉스[039030](6.01%) 등도 일제히 올랐다.
반도체 장비 전문 업체 리노공업[058470]은 주식 액면분할을 위해 이날부터 오는 24일까지 거래가 중지된다.
이날 반도체주의 초강세는 간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국가별 개별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한다고 밝힌 영향으로 보인다.
고강도 관세 조치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다소 누그러지며 투자심리가 대폭 개선된 것이다.
특히 간밤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전장보다 18.73% 급등한 점도 이날 반도체주에 훈풍으로 작용했다.
개별 종목별로 보면 엔비디아(18.72%), 브로드컴(18.66%), ASML(15.43%) 등 주요 반도체주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시장의 관심은 반도체주의 이날 반등이 추세적인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을지다.
이날 외국인 투자자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식을 순매도했지만 규모는 줄어 매도세가 눈에 띄게 둔화된 모습이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날 삼성전자 주식을 119억원 순매도해 10거래일 연속 '팔자' 행렬을 이어갔다. 순매도 규모는 지난 9거래일(지난달 28일~지난 9일) 평균인 2천410억원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SK하이닉스 역시 외국인이 이날 42억2천800만원 매도 우위를 보이며 7거래일 연속 순매도가 지속됐다. 다만 규모는 지난 6거래일(2~9일) 평균인 3천345억원보다 감소했다.
증권가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기업 체력에 비해 최근 주가 낙폭이 과도하다는 분석이 많았다.
최근호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미국 관세 부과 우려로 최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87배 수준까지 하락했다는 점에서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됐다"며 "삼성전자의 D램 경쟁력이 향후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가에서 매수할 기회"라고 평가했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 역시 최근 SK하이닉스의 하락세에 대해 "관세 및 수요 불안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은 관련 업종 모두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메모리반도체는 공급이 제한돼있다는 측면에서 여타 업종보다 가시성이 높은 업종일 가능성이 커 단기 과락을 투자 비중 확대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를 추가로 발표할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주가 전망의 불투명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황수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도 여전히 언급 중이고, 반도체 관세 부과 여부도 미지수"라며 "중국과 대화 방향 및 보복관세가 추가 상향되는지 여부 등도 봐야 한다"고 말했다.
o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