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사재 출연을 통해 미정산금 지급 이행에 나서면서 홈플러스의 경영 정상화에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김병주 회장이 사재 출연을 통해 이달부터 홈플러스 상거래채권을 정산받지 못한 소상공인 2000여 곳의 정산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달 16일 MBK 측이 김 회장의 '결제 대금 지원' 방침을 담은 입장문을 통해 "김 회장이 소상공인 거래처에 결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힌 데 따른 이행 차원이다.
김 회장의 사재 출연은 납품 대금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이 대상이다. 홈플러스와 협의해 대금 지급을 진행하고 있다.
정산 규모에 대해서는 밝히지는 않았지만 '사재 출연' 계획을 이행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는 시각이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달 4일 기업회생에 돌입하자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책임론이 대두됐고, 김병주 회장 측은 '사재 출연' 카드를 앞세워 진화에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사재 출연 규모와 구체적인 일정을 밝히지 않은 데다, 지난달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도 석연치 않은 이유로 불참하면서 현실화 논란이 제기됐다.
국회는 김병주 회장에게 사재 출연을 포함한 피해 구제안을 10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10일 피해 구제안 제출 불투명…정치·금융권 압박 수위
홈플러스는 법정관리 후 상거래채권을 비롯해 매입채무유동화 채권(ABSTB)을 상거래 채권으로 취급해 변제하는 등 해결 방안 모색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일부 납품 공급 갈등과 협력사 만기 도래일 임박 등 경영 정상화는 여전히 난관에 봉착해 있는 상태다.
세일앤드리스백(Sale & Lease back) 과정에 발생한 임대료 인하 요구로 협력사를 비롯한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들과 갈등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와 MBK의 사기적 부정거래 관련 검사·조사와 관련해 조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권 압박도 높아지고 있다.
국회가 MBK의 홈플러스 투자자에 대한 구체적인 변제안 제출을 이날까지 제출하라고 촉구했지만 이마저 불투명한 상태다. 기업회생 절차 시기, 신용등급 강등 인지 시점 등 해소되지 않고 있는 의혹에 대해 홈플러스의 회생계획 법원 제출 시한인 6월 3일 이전 청문회를 통해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다만 사재 출연 계획과 관련해 정확한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김 회장이 이행에 나서면서 MBK와 홈플러스에 대한 불신과 현재까지의 사태 수습에 어떠한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엑시트' 우려가 아닌 '회사 정상화'를 위한 진정성으로 비칠지 지켜볼 대목이다.
MBK 관계자는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가 무엇인지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진정성 있게 살펴보고 있으며 실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