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이차전지·車 상승 두드러져
상장사 실적·美 금리 인하 등 변수
관세리스크 완화로 증권가에선 낙폭과대 업종을 주목하고 있다. 골이 깊으면 산도 높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반도체와 기계, 소재 등이 꼽힌다. 다만 과도한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이번 조치는 '유예'인 만큼 관세 불안이 '해소'됐다고 보기 어려운 데다 국내 기업 실적과 미국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등 경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수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상장사 실적·美 금리 인하 등 변수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트럼프 관세 공포가 크게 반영됐던 낙폭과대주일수록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유예 조치에 따른 반등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간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외 다른 나라에 대해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 기본관세도 기존 25%에서 10%로 낮추겠다고 했다. 9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시행 13시간여 만에 수위를 대폭 누그러뜨렸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은 많이 빠진 종목이 반등하는 시기다. 일정 수준 반등한 뒤에 다른 조건을 고려해도 늦지 않다"며 "업종으로 보면 고점 대비 낙폭이 컸던 기계와 반도체에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 이날 관세 우려 경감에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크게 오르는 가운데 반도체와 이차전지, 자동차, 산업재 등 대형주 상승이 두드러졌다. 개인보다 외국인과 기관 수급이 대폭 유입되며 장세를 주도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어느 정도 반등이 이어지고 난 다음에 업종별로 추이가 갈릴 것"이라며 "그동안 관세 압력이 완화되면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반도체가 올랐다. 이번 국면에서는 철강 무관세 쿼터 해제, 유가 하락 등에서 기회를 찾아 이차전지라든지 소재 산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경기둔화 우려가 남아 있어 낙관은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본관세가 낮아졌지만 10% 부과는 현실화될 예정인 만큼 상호관세 시행 이전만큼 회복하는 추세적인 반등을 이룰지는 미지수라는 판단이다.
반도체·바이오 등 품목별 관세가 결정 전이고, 유예된 90일간 상호관세 정책 역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미국 연준의 금리정책도 경기 흐름을 결정짓는 큰 변수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말 한마디 한마디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다. 오늘은 좋은 뉴스였지만 내일 또 어떤 얘기가 나올지 모른다"며 "관세가 유예된 90일 동안 진행될 국가별 협상을 지켜봐야겠다"고 설명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