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한국, '北 혈맹' 시리아와 수교…"유엔 전 회원국과 수교 완결"(종합)

뉴시스

입력 2025.04.11 01:05

수정 2025.04.11 01:05

조 장관, 시리아 직접 방문…수교 공동성명 서명·대통령 예방 의약품, 의료기기, 쌀 등 제공 통해 인도적 위기 대응 지원 시리아 국가 재건시 한국 경험 전수·기업 참여 가능성 타진
[서울=뉴시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커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함으로써 시리아와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2025.04.11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커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함으로써 시리아와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2025.04.11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한국이 시리아와 정식 수교를 맺었다. 유엔 193개 회원국 중 시리아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미수교국이자 북한의 오랜 혈맹국이었다.

11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태열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커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하고 시리아와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이로써 한국은 지난해 쿠바에 이어 시리아와 수교하면서 북한을 제외한 유엔 전 회원국과 수교를 맺었다. 유엔 비회원인 교황청, 쿡 제도, 니우에을 포함하면 시리아는 한국의 194번째 수교국이 된다.



외교부는 "지난해 쿠바와의 수교 이후 유일한 미수교국으로 남아 있던 시리아와 이번에 외교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우리나라는 191개 유엔 회원국 모두와 수교를 완결하는 역사적 이정표를 세웠다"며 "그동안 북한과의 밀착으로 관계가 두절됐던 시리아와의 양자관계에 새로운 협력의 장이 열리게 됐다"고 평가했다.

조 장관은 이날 수교 서명식 후 알샤이바니 장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수교 이후 양국 관계 발전 방향 등을 협의했다.

조 장관은 시리아의 안정과 번영이 중동 평화, 더 나아가 글로벌 평화에 긴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수교를 바탕으로 한 양측간 협력이 시리아 발전과 중동의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시리아의 국가 재건 과정에서 우리의 개발 경험을 전수할 의사를 밝히고, 제반 여건 개선 시 한국기업의 재건 활동 참여 가능성도 타진했다. 아울러 의약품, 의료기기 및 쌀 등 인도적 물품 제공을 통해 시리아가 직면한 인도적 위기 대응을 지원할 뜻을 전했다.

이에 알샤이바니 장관은 한국측의 개발 경험 공유 의사 및 인도적 지원 계획에 사의를 표하면서, 대(對)시리아 제재 완화를 위한 한국의 지원을 기대한다고 표명했다. 또한 향후 시리아 재건 과정에서 한국측 기여 방안에 대해서도 계속 논의해나가자고 했다.

조 장관은 이어 아흐메드 알샤라아 시리아 대통령을 예방하고, 아사드 정권 축출 이후 포용적인 정부 구성을 통한 신정부 출범을 축하했다.

조 장관은 시리아가 포용적 정치 프로세스 지속, 극단주의에 대한 단호한 대응 및 화학무기 제거 등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해 나간다면 시리아 재건 및 지속적 경제 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이러한 신정부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도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커스에서 아흐메드 알샤라아 대통령을 예방하고, 아사드 정권 축출 이후 포용적인 정부 구성을 통한 신정부 출범을 축하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5.04.112025.04.11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커스에서 아흐메드 알샤라아 대통령을 예방하고, 아사드 정권 축출 이후 포용적인 정부 구성을 통한 신정부 출범을 축하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5.04.112025.04.11 *재판매 및 DB 금지
알샤라아 대통령은 양국 외교관계 수립을 환영하고, 새로운 시리아의 출발에 한국의 지지가 긴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이번 수교를 통해 두 나라가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한국은 1991년 유엔 가입 후 시리아, 쿠바와의 수교를 추진했지만 북한의 개입과 방해로 매번 무산됐다. 시리아는 북한과 1966년 수교를 맺은 이후 군사 협력 등을 추진해왔지만 북한에 우호적인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축출되자 시리아 주재 북한 외교관들도 현지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아사드 정권 붕괴 후 과도정부가 들어선 시리아와 수교를 추진하기 위해 지난 2월 정부 대표단을 시리아에 보내 양국간 협력방안을 논의하며 수교를 타진했다.

이후 지난 달 18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시리아와의 외교 관계 수립안'을 외교부 원안대로 의결했고, 조 장관은 의결안을 이행하기 위해 시리아를 방문했다.

북한의 '형제국' 쿠바에 이어 '혈맹국' 시리아와도 수교함으로써 국제 무대에서 한국의 입지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알샤이바니 외교장관은 이날 수교 서명식을 마친 후 자신의 X(옛 트위터)에 시리아 신정부에 대한 국제적 지지를 강조하면서 시리아 정부 지원 협정을 맺은 국가들로 한국을 추가하고 태극기 이미지를 게재했다.


이에 앞서 알샤이바니 장관은 지난 8일 알샤라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시리아의 해외 대사관과 외교 공관에 대한 구조조정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시리아 현지 외교관들을 철수시키고 사실상 공관 운영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리아의 북한과의 외교 관계 설정에도 기존과 다른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한국과 시리아 간 정식 수교로 북한의 국제적 고립은 더 심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서울=뉴시스]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이 자신의 X 계정에 올린 태극기 이미지. ( 2025.04.11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이 자신의 X 계정에 올린 태극기 이미지. ( 2025.04.11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p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