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핵 협상 앞둔 美, 中시설 포함해 새 이란 원유망 제재 발효

뉴스1

입력 2025.04.11 06:22

수정 2025.04.11 06:22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미국이 12일 오만에서 이란과의 핵 협상을 앞두고 새 제재를 부과했다.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원유 저장 시설도 제재 목록에 포함됐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은 이날 중국의 '광샤 저우산 에너지 그룹' 등을 대상으로 이란 원유 거래망 대상 추가 제재를 부과했다.

미국 정부에 따르면 광샤 저우산 에너지 그룹은 중국 저우산시 황저산섬에 위치한 원유 및 석유제품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은 '황저산-유산 해저 송유관'을 통해 인근 독립 정유공장(일명 '티팟' 정유소)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미국 정부는 "이 터미널이 이란산 원유를 매입·운송·판매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했다"며 이날 제재 조치를 발표했다.



UAE에 거주하는 인도 국적의 사업가 주그윈더 싱 브라르도 제재 대상에 포함됐다. 브라르는 약 30척의 선박을 보유한 해운 회사를 운영하며 이란산 원유의 유통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브라르의 선박을 소유·운영한 UAE 및 인도 소재 4개 기업도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이란 국영 석유회사(NIOC) 및 이란 군부를 대신해 원유를 운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제재 대상의 미국 내 자산은 동결되며, 미국 기업 및 개인과의 거래도 금지된다.

이번 제재는 미국·이란 양국이 12일 오만에서 직접 핵 협상을 앞둔 가운데 부과됐다. 미국은 그간 다른 나라를 거쳐 간접 협상만을 해왔으나 이번에는 직접 이란과의 협상에 나서기로 했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영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와 핵 합의를 체결해 우라늄 농축도를 3.67% 이하로 제한하고 탄도미사일 개발을 8년간 중단하는 조건으로 경제 제재를 해제 받은 바 있다.

하지만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핵 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며 사실상 핵 합의가 무산됐고, 이란은 우라늄 농축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재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첫 임기 때 시행했던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전략을 다시 가동하며 새로운 핵 협상을 이란에 압박해왔다.


이 과정에서 이란의 원유 수출을 막기 위해 4차례의 경제 제재를 단행하는 등 이란의 석유 수출을 완전히 틀어막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지 않을 경우 군사력을 동원하겠다고 재차 위협했다.
미 재무부는 전날에도 이란원자력기구(AEO)를 포함한 5개 기관과 개인 1명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