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학교 예산연구소(TBL)는 10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소비자들은 평균 27%의 실효 관세율에 직면할 것"이라며 "이는 1903년 이후 최고치"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9일 발표한 관세 유예 조치를 반영했음에도 기존의 실효관세율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수입 패턴이 변화하더라도 평균 관세율은 18.5%로 193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은 중국만 관세 유예 조치에서 제외했는데, 중국을 대체해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더라도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올해 관세로 인한 물가 수준이 단기적으로 2.9%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4년 가구당 평균 4700달러의 비용에 맞먹는 수준이다.
또 관세로 인한 소득 분포 최하위 가구의 손실은 2100~2700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의류 및 섬유 제품에 영향을 미쳐 의류 가격이 단기적으로는 64%, 장기적으로는 27%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025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1% 낮아지고 장기적으로는 0.6%의 지속적 감소가 발생한다고 TBL은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기준으로 계산하면 연간 1700억달러(약 247조원)에 해당한다.
한편 대(對)중국 상호관세율은 지난 2일 발표한 34% 이후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응하며 84%까지 올랐다. 이후 중국이 맞대응하자 9일에 또 상호관세율을 125%까지 올렸다. 여기에 2월 펜타닐 문제로 10%씩 2번에 걸쳐 부과했던 20%와 합치면 대중국 관세율은 145%까지 오른 상황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